전국을 선도하였던 전라북도의 민주화‧인권 운동을 계승하는 사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동학농민혁명 이후 근대화 속에서 지역침체의 길을 걸었으나 어느 지역보다 앞서 인권신장과 민주화에 앞장섰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당시 전북의 시대정신을 반영해 자긍심을 높이는 지역 정체성으로 구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 이승만 정권의 3·15 부정선거를 규탄하는 전국 대학 최초의 4‧4시위(전북대), 유신 계엄에서 최초이자 유일한 비상계엄 반대시위(전주고), 유신 치하 최초의 성직자(은명기 목사) 구속피해, 1980년 5월 계엄 선포 이후 최초 희생자(이세종 열사) 피해가 전북에서 있었다.

이에 전북연구원은 지난 14일 이슈브리핑을 통해 민주화인권 운동 계승사업의 과제를 제안했다.

장세길 박사는 “동학농민혁명에서 민주화운동으로 이어지는 전북의 시대정신을 정리해야 한다”며 “민주화·운동에 대한 역사를 기록하고, 장소와 인물을 기억하는 종합계획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전라북도 민주화운동 기념에 관한 조례’ 개정이 첫 번째 과제라고 설명했다.

민주화·운동 계승사업을 담당할 위원회를 구성하고, 종합계획을 수립하는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고 했다.

지난 2008~2012년까지 단편적으로 이뤄진 전북의 민주화·인권 운동 기록화 사업을 이어받아 주요 사건과 장소, 인물과 시대정신을 정립하는 2단계 기록화 사업의 추진도 뒤따라야 한다.

‘장소의 기억화’ 작업도 강조된다.

김주열 열사 시신 인양지(창원시 마산합포구)는 경상남도 기념물로 지정됐으나, 전북에서는 민주화·인권 운동과 관련한 장소 등은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지 않다.

기록화 사업을 통해 장소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정립하고, 민주화·인권 운동을 대표하는 장소를 기념물로 지정하는 일에 나서야 한다는 게 장 박사의 주장이다.

현재 건립중인 전북대표도서관을 ‘기념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장 박사는 “민주화·인권운동과 관련한 자료를 모아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교육·체험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해야 한다”며 “민주화·인권 운동과 관련한 기념공원, 광장을 지정하고 관련 행사를 개최하는 상징적 장소로 만들어야 한다”는 과제도 내놨다.

전북을 대표하는 사건과 인물에 대한 예술콘텐츠 개발은 물론, 4‧19혁명, 동학농민혁명(5‧11국가기념일), 5월 민주화운동, 6월 항쟁으로 이어지도록 민주화‧인권 운동 계승 기간을 한 달 동안 지정할 것을 요청했다. /박은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