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내 대학들이 학령인구 감소인한 대학위기 극복을 위해 공동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전북대를 비롯해 군산대, 원광대, 전주대, 우석대등 도내 17개 모든 대학들은 지난 25일나 전북지역 대학발전협의회 창립회의를 열고 지역대학이 처한 위기 극복을 위한 구체적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지역대학간 학사교류와 학술교류 협정 등을 통해 대학 간 상호 학점을 인정해주고 교육과정을 공유하는 방식을 적극 도입키로 했다고 한다.

지방대가 벚꽃 피는 순으로 문을 닫을 것이란 당면의 위기가 어느 한 대학만의 문제가 아님을 공동인식하고 있음이고 이는 곧 대학 존폐와 직결됨을 체감한데 따른 자구책마련 필요성에 기인한 것임은 물론이다. 더욱이 지방대위기는 대학만의 문제가 아니라 소재한 지자체 지역사회나 경제, 문화 등의 영역에 까지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전북의 경우만 해도 남원의 서남대 사태에서도 확인했듯이 특히 중소도시에 있어 대학과 지역사회의 보이지 않은 연대는 거의 절대적이고 이런 관계단절이 가져올 심각한 부정적 파장은 우려했던 그이상이 될 수밖에 없다. 지방소멸이 공론화된 상황에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신입생모집에 절대적인 차질이 빚어진 지방대 위기에 공동대처해야 한다는 움직임은 이미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실제 경북도는 지난달 31일 대구·경북지역대학교육협의회 소속 대학 총장 21명과 간담회를 갖고 지방소멸과 지역대학 위기 극복을 위한 공동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광주시도 지난달 12일 행정부시장 직속으로 ‘대학발전협력단’을 출범시켜 관내 5개 대학, 시교육청 파견한 인력 10명이 상주하며 대학 현황을 파악하고 소통 업무를 수행토록 하고 있다. 지방대위기가 지자체 당면 현안이자 위기 요인이 된 것으로 대학 자구 노력만으로 버티는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음을 알기에 총력대응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인구감소는 불가피하고 지금도 진행 중인 저 출산은 지속적인 학령인구감소를 예고하고 있다. 그리고 살아남기 위한 지방대의 경쟁이 지자체 경쟁으로 까지 옮겨가고 있다. 지방대 위기관리를 위한 적극적인 대응과 함께 피해 최소화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장기 대책이 시급하다. 도내 대학들의 위기가 빨라지는 만큼 지역의 위기 역시 가속화될 수밖에 없음에 긴장해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