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세대인 MZ세대가 '공정'을 말하는 빈도가 늘고 있다. 작년 인천공항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논란이 일었을 때 이들 상당수는 공정하지 못하다는 주장을 내놨다. 시험 준비와 공부를 잘 하지 못한 사람들을 왜 정규직으로 인정하느냔 것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흐름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고시공부를 잘 한다는 어느 집단은 공부를 잘 하는 사람들만이 높은 자리에 올라야 하며, 그렇지 못한 사회면 공부할 필요가 없다는 논리로 '공정'을 규정하려 한다. 이는 마치 사법고시, 외무고시, 행정고시, 의사고시 출신들이 국가의 사법, 행정, 외교, 사회 등을 모두 장악해야 한다는 것과 마찬가지다.

물론, 전 세계의 MZ세대 역시 공정을 사회의 중요 이슈로 삼고 있다. 그러나 우리와는 다르다. 이들은 오랜 기간 신자유주의가 축적해 온 빈부격차를 심각한 사회문제로 받아들인다. 이에 MZ세대들은 소득격차를 줄여 빈부격차를 줄이자고 주장한다. 최저임금 보장을 지지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또한 공부로 계층을 줄 세우지 않는다. 특히, 젊은 세대는 지속적으로 동일노동 동일임금을 지지하는 경향이 크다.
그러나 우리 MZ세대만 유일하게 소득격차를 긍정하는 쪽으로 더 기울고 있다. 명문대 출신이, 대졸 출신이, 스펙이 많은 사람이 더 많이 벌어야 하며, 이러한 소득격차는 당연하다고 여긴다. 이에 최저임금도 비판하고, 비정규직은 당연히 비정규직에 준하는 대우를 받아야 한다고 판단한다.

이는 내 재산과 권리는 유지되어야 하며, 나만 살아남으면 된다는 약육강식의 사고로 이어진다. 이러한 사고가 확산되면 우리사회의 빈부격차는 더욱 확대된다. 이는 지난 수년간 보수매체들이 유도한 방향으로 프레임이 형성됐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크다.

마침 여야 대선주자들이 우리사회의 '공정'을 주제로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공정'이란 사회의 조직적 생활 과정에서 여러 인격에 대한 대우 또는 복리(福利)의 배분 등을 대상들의 이질성·동질성 등의 여하에 관계없이 기준에 따라 공평히 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번 대선이 우리사회가 공정으로 한 걸음 더 나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