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지역 소상공인들의 배달 판매 수수료 절감을 위해 내년 초 시범운영을 목표로 ‘전주형 공공배달앱’을 개발 용역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비대면 소비 트랜드가 대세로 자리 잡으며 배달서비스가 가계운영의 필수가 됐지만 배달 운영비 지출에 업주들이 큰 부담을 느끼고 있고 이는 곧 지역경제의 부담으로 작용하는 상황을 방치할 수 없어 시가 나서게 됐다는 것이다.

특정 민간업체 몇 곳이 배달서비스 시장을 독점하다 시피하면서 지역소상공인들이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일방적인 수수료 부담을 고스란히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모순된 시장은 결국 시민들의 피해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판단도 시의 결정에 영향을 줬다고 한다.   

시는 전주만의 특화된 서비스를 위해 지역화폐를 기반을 둔 플랫폼 구축과 함께 전통시장 상인들의 온라인 디지털 판로지원 등에 중점을 두고 앱 개발을 추진할 방침이다. 공공배달 앱 시장이 열려 지역 온라인 배달시장의 20~30%만 흡수한다 해도 지역 중소상인들은 연간 370억 원 정도의 수수료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돼 정상운영에 대한 소상공인과 시민들의 기대는 높다.

지난해 3월 전국지자체 최초로 군산시가 공공앱인 ‘배달의 명수’를 출시 한 것도 이 같은 문제해결에 지자체의 역할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였다. 지난 한해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은 자영업자들이지만 공공앱으로 인해 적지 않은 도움을 받았던 것으로 파악되면서 경기도가 군산시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배달특급’앱을 출시한데 이어 충북, 인천, 강원 등 전국의 지자체들이 관심을 갖고 자체 앱을 개발해 활성화시키기고 있다.

그러나 수수료가 낮고 지역화폐결재를 추가하는 등 상공인과 지역주민의 편의가 증대되는 효과는 긍정적이지만 가맹점수를 늘려야 하고 또 지속적인 시스템 구축, 고객들을 위한 사후관리를 위한 적지 않은 투자 등은 지자체부담이 될 수밖에 없단 지적이 나오고 있다. 민간 배달앱이 갖지 못한 서비스개발을 비롯해 공공앱 만이 가진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미다. 철저한 준비와 대안마련에 좀 더 깊은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 기대가 큰 만큼 소상공인과 지역주민 보두가 만족할 수 있는 특화된 서비스를 담아야 한다. 그래서 성공해야 도민모두가 혜택볼 수 있는 또 다른 공공앱이 개발될 수 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