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비수도권 인구감소가 국가 최대 현안이 된 가운데 농촌인구가 많은 전북 시군의 경우 오히려 지역재생잠재력 지수는 대도시 보다 높은 것으로 나와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 지금의 현실은 정부의 각종대책에도 지속적인 인구감소로 인한 지방소멸이 불가피하다는 비관론이 팽배하지만 농촌의 성장잠재력을 최대한 끌어올리기 위한 국가차원의 적극적인 노력이 지속된다면 희망은 있다는 가능성이기에 주목된다.

최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지역재생잠재력지수의 의의와 시사점’이란 분석자료를 통해 전국 229개 시군구 중 지역재생 잠재력이 높은 상위 19개 지역은 모두 군 지역이라고 밝혔다. 도내에선 장수군이 2.10으로 여기에 포함됐고 고창군, 임실군, 진안군, 순창군, 김제시, 부안군 등도 상위 5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임실과 진안은 최근 5년간 인구 순유입 시군 26곳에 들기도 했다.

지방소멸예상 평가는 일본의 '마스다보고서'에서 처음 제시된 65세 이상 인구 대비 가임여성 비율로 측정되는 '지방소멸위험지수'를 많이 인용하고 있다. 하지만 '지역재생잠재력지수'는 출생아수를 넘어 지역 전반적인 출산분위기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둬 지수 값 1을 기준으로 값이 커질수록 지역의 재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한다. 가임인구와 함께 지역의 사회나 육아, 보육정책 등의 미래의 정책과제 까지를 들여다 볼 수 있기에 종합적인 분석이 가능하단 장점이 있고 그 결과 농촌 인구감소는 도시보다 아이를 많이 낳는다 해도 양육하고 교육하는 인프라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이들이 다시 도시로 떠나는데서 그 원인을 찾고 있다. 실제 군에서 태어난 아이가 유치원 입학이 시작되는 3세부터 떠나기 시작해 초등학교, 중

학교, 고등학교 입학시기 때 마다 큰 폭으로 이탈자가 증가하고 있었다.  
지역내 출산 분위기 장려와 함께 아이들이 농촌에서 태어났지만 도시 못지않은 교육환경을 갖춰 차별 없고 걱정 없이 성장하고 거주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정책적 대안 마련이 필요 하다. 별다른 대안 없이 지방의 부정적 위기감을 가중시키는 소멸론에 함몰되기 보다는 재생잠재력 높은 농촌회생을 위한 환경조성과 지원에 역량을 모아 나가야 한다. 농촌에 살아도 도시만큼의 교육 서비스를 받을 수 있어야 지속가능한 인구를 유지할 수 있다는 지적, 새겨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