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남은 온실가스는 산림등을 통해 흡수, 제거해 실질적인 배출양이 ‘0’이 되는 개념을 말하는 탄소중립의 지자체 선도모델을 전북이 제시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2050 탄소중립’이 선택이 아닌 필수로 전세계적인 과제가 된 만큼 탄소산업을 선도에서 리드하고 있는 전북도의 역량을 최대한 끌어올려 시너지를 배가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전북연구원은 최근 이슈브리핑 ‘기후위기 시대, 전라북도 탄소중립 대응 기본방향’을 통해 인간의 인위적 활동에 기인한 ‘기후위기’로 인해 인류가 코로나19보다 더 큰 변화와 도전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하고 전북도 탄소중립 대응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부의 탄소중립 추진전략과 전북형 뉴딜과의 정합성을 최대한 활용해 2050 탄소중립 전략의 실현과 그린뉴딜 추진의 실질적인 이행 주체로서 전북의 역할을 지적한 것이다.

온실가스 배출량과 흡수량이 균형을 이루는 ‘탄소중립’의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한국은 물론 세계주요국가들이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있다. 전인류가 직면한 최대의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가장 유효한 대책인 탄소중립의 실천여부에 인류 미래가 달려있다는 판단에서다.

문재인대통령이 지난해 10월 ‘2050탄소중립계획’을 선언한데 이어 지난 5월엔 목표달성을 위해 정부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게될 ‘2050탄소중립위원회’까지 구성하는 의지를 보일 만큼 지구온난화 주범인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줄이고 흡수량을 늘리기 위한 중장기 계획의 필요성은 한국에 있어서도 절대적인 현안이다.

정부의 탄소중립 세부대책 수립에 맞춰 전북이 역점을 두고 추진중인 탄소산업의 적극적인 육성을 통한 산업구조혁신과 이를 바탕한 저탄소 신산업 생태계 조성, 미래 모빌리티선도, 스마트 농생명 선점 등의 과제수행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는 이유다. 특히 정부는 탄소중립 10대과제를 선정하면서 전북의 미래 주력 산업인 수소차, 전기차 등의 친환경자동차로의 전환을 가속화 할 것임을 분명히 하고 저탄소산업 및 그린경제를 선도하는 기업의 적극적인 발굴과 지원에 대한 분명한 의지를 이미 밝힌 상태다. 전북도의 대응전략이 어떻게 마련되느냐에 따라 그 결과 역시 극명하게 나뉠 수 있음을 예상케 하는 대목이다. 실기하지 않도록 면밀히 검토하고 적극적인 대응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