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전주박물관의 장애 관련 예산이 2021년 전체 예산 대비 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인권상장을 위한 복지가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지만, 공공성을 추구하는 국립문화예술시설조차 관련 예산이 턱없이 부족해 장애인들의 원활한 문화활동 참여가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

7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김예지 의원(국민의힘)이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국립민속박물관, 대한민국역사박물관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국립전주박물관 전체 예산(70억3100만원) 중 장애 관련 예산은 300만 원으로 집계됐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속되어 있는 13개 지역 박물관 가운데 국립전주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 등 8곳은 장애 관련 예산이 0% 수준이었으며, 광주와 대구 등 4개 박물관은 장애 관련 예산이 0.1%로 파악됐다. 

이에 더해 장애인의 관람을 지원하는 지원인력 또한 국립중앙박물관은 전체 대비 1.8%, 국립현대미술관 1.3%, 국립민속박물관 1.2%로 확인됐다. 대한민국 역사박물관의 경우 지원인력이 아예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렇듯 장애인들이 전국의 국립문화예술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기반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보니, 장애인들의 문화향유권이 비장애인들이 누리는 수준과 동등하지 못하다는 불만이 커지는 상황이다. 

김예지 의원은 “공공성은 국립 미술관과 박물관이 추구해야 하는 이념이자 전제조건이다. 국립문화예술시설은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공간이어야 한다”며 “관련 예산과 인력 확충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이어 김 의원은 “코로나19로 비대면 문화가 확산 되고 있는 상황에서 수어 해설과 전자 리플릿 등 기존의 장애 관련 서비스 뿐 아니라 IT기기와 VR등을 활용한 새로운 장애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박은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