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경제가 산업구조 불균형으로 인한 저성장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면서 각종 경제 지표가 바닥권에 머무는 것은 물론 일자리 감소와 이로 인한 인구 유출 가속화가 심화하고 있다는 지적이 국감에서 제기됐다. 전북 제조업 비중을 높이는 등의 산업구조 개편을 서둘지 않으면 장기경제 침체로 인한 지역경쟁력 약화가 굳어질 수 있는 만큼 대책 마련이 급하다.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최근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 수출 총액은 58억4,600만 달러, 수입 총액은 47억7,100만 달러로 전국 수출입 물량의 각각 1.1%와 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이 이미 지난 1월 2019년을 기준으로 한 전국 17개 시도의 경제력지수 분석에서 전북은 전국평균 6.0에 한참 못 미치는 5.30으로 꼴찌라는 결과를 내놓은 터라 암울한 전북경제 현실에 대한 우려가 크다. 인력기반 자체가 취약하고 산업발전지수도 전국평균 이하인 것은 물론 특히 지역의 소득수준과 SOC, 지역재정력은 전국 최하위였다. 산업기반이 열악하다 보니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서 뒤처질 수밖에 없고 이는 다시 전국에서 차지하는 지역 경제력 비중을 낮추는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며 경제위기를 가속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있는 게 전북경제 현실이다.

청년 인구의 ‘탈 전북’으로 인구감소 마지노선으로 여겨졌던 180만 명이 붕괴할 만큼 지금 전북 위기는 심각하다.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한계에 다다르면서 ‘탈 전북’은 지금도 진행 중이다. 그리고 도내 14개 시·군 가운데 10개 시군이 지도에서 사라질 수도 있는 ‘지방소멸’ 위기 지자체란 현실은 더욱 과감하고 속도감 있는 경제 회생 방안 마련의 시급성을 요구하는 이유가 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전북 산업에서 서비스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68%인데 반해 제조업과 광공업은 24%에 불과한 심각한 격차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더해지지 않는다면 일자리 감소와 인구 유출은 막을 수 없다는 지적을 새겨야 한다. 전북 혁신성장 동력 발굴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한다. 수도권 기업 유치를 위한 과감한 규제 완화에서부터 전북의 미래 주력산업으로 분류되는 탄소 산업, 신재생에너지, 수소 산업 육성을 통한 신성장산업 시장의 선점을 위한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기업 육성 정책에 역량을 모아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