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 최대 뇌관으로 꼽히는 가계부채가 지난 6월 말 기준, 1,806조원으로 사상 첫 1,800조원을 돌파했다.

20대·30대 청년층 전세 대출이 88조여원으로 지난 5년간 60조여원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정운천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부동산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으기)’ 대출 열풍에 전세난까지 덮치면서 2017년 29조1738억원이었던 20~30대 청년층의 전세자금 대출 잔액이 5년 만에 88조234억원으로 급증했다고 22일 밝혔다. 

전체 전세자금 대출 잔액 중 청년층 대출 비중은 60%에 달하는 규모다. 특히, 20대 전세자금 대출 잔액은 2017년 4조3891억원에 불과했지만, 올해 6월에는 24조3886억원으로 무려 5배 이상 급증했다.

또한 청년층의 가계대출도 빠르게 늘고 있다. 전체 가계부채 중 청년층 비중은 코로나 이후 크게 늘며 올해 2분기 기준 26.9%를 기록했다. 가계부채 증가율은 전년 동기대비 12.8%로 다른 연령층의 증가율 7.8%를 크게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자금 대출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산정 시 원금상환분을 고려하지 않는 등 상대적으로 규제 수준이 낮다. 또한 청년층 주거지원을 위한 정부의 전세자금 지원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운영돼 청년층의 수요가 상대적으로 높다.

다중채무자(3건 이상 금융기관 차입)이면서 소득 하위 30% 또는 신용점수 664점 이하인 청년층 취약차주의 비중은 6.8%로 다른 연령층(6.1%)보다 높은 수준이다. 특히 소득 하위 30%인 청년층 저소득 차주 비중은 2분기 기준 24.1%로 다른 연령층 14.4% 대비 2배 가까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정운천 의원은 “청년층의 경우 취약차주 비중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높은 상황으로 금리 인상 등 부채부담이 커질수록 건전한 소비활동이 제약될 우려가 있다”며, “청년층의 가계부채 연착륙을 위해 면밀히 동향을 점검하고 선제 관리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1일 참모회의에서 코로나로 취업난이 가중되는 등 청년들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면서 청년들 가운데 학자금 대출과 금융권 대출 등을 함께 짊어지고 있는 ‘다중채무자’를 돕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이를 위해 정부는 학자금 대출 채무조정을 담당하는 한국장학재단과 금융권 대출 채무조정을 담당하는 신용회복위원회 간의 협약을 조속히 추진할 계획이다.
/백지숙기자·jsbaek1023@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