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원식 전라북도 농축산식품국장

지금의 농촌하면 가장 먼저 연상되는 것은 「지역소멸」, 「고령화」, 「저출산」이라는 부정적인 단어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 대하여 대다수의 전문가들은 예상보다 빠른 농촌지역의 고령화 속도를 주원인으로 진단하고 있다.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층은 16.4%로 2019년 15.5%로보다 0.9% 상승했다. 이를 인구수로 계산하면 46만명 가량이 증가한 것이다. 하지만 더욱 심각한 것은 농촌지역의 면단위 고령화는 31.5%를 차지하고 있어, 도시지역 동단위의 14.6%보다 두배 가량 높다는 것이다.

이러한 빠른 농촌지역 고령화 속도는 기존의 농업생산구조, 인구유입정책(귀농귀촌), 특히, 농촌공동체 유지 대한 패러다임을 뿌리째 흔들고 있다.

그 대안으로 ICT, AI 등을 활용한 스마트 기술 농업 확대, 관계인구 증가를 통한 도농교류 활성화 정책추진 등 고령화가 불러오는 농업생산구조, 인구정책 등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이 계속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라북도와 전북농어촌종합지원센터에서 개최한 「농촌발전·활력의 새로운 주체를 어떻게 육성해 낼것인가?」라는 정책 세미나에서 제시된 높은 대안에 필자의 관심이 끌렸다.

바로 '농촌현장활동가' 육성이라는 제안이었다.

중앙정부와 지자체는 농촌지역소멸 위기 극복, 고령화·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농촌협약, 시군 역량강화, 도농교류 활성화 사업, 농촌복지사업 등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농촌지역에서 추진하는 사업을 수행할 수 있는 사람이 없다면 어떻게 될것인가? 또한 이러한 농촌지역 사업을 성공시킬 수 있는 핵심 요소는 무엇일까?

이러한 고민에 대한 해답은 바로 사람이다. 즉, 현장에서 일할 수 있는 사람을 발굴하고 육성하는 것이다.

전라북도는 2016년부터 ‘시군 마을만들기 중간지원조직 구축사업’이라는 농촌현장활동가 육성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초기에는 마을꽃길가꾸기, 동아리 조직하기, 작은 축제 개최 등 소액 마을만들기 사업으로 추진하였으나, 지금은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촌협약, 시군 역량강화 사업 전담 기관으로 운영되는 등 농촌사회에서 가장 역량있는 조직으로 거듭났다.

현재 전국 최초 13개 시군(전주시 제외) 전역에서 80여명의 농촌현장활동가가 마을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더욱 놀라운 사실은 약 50%정도가 만 45세 이하의 청년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사업은 농촌지역의 능력 있는 젊은이들을 발굴하고 육성하는 사업이기도 하지만 농촌지역에서 지속가능한 새로운 일자리 창출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함께 열여 주었다.

서두에 언급했던 농촌지역이 가지고 있는 어려운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농촌현장활동가 육성이 절실하다.

지금의 농촌위기를 극복하고 시대에 적합한 농촌활력을 주도할 농촌현장활동가 육성 사업을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활력 넘치는 전라북도 농촌을 다시 한번 그려본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