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방역패스’가 내년 2월 1일부터 만 12∼18세로 확대 시행된다고 한다. 내용을 보면,  학원 등에 가려면 현재 초등학교 6학년(2009년 출생) 이상은 백신 접종을 완료하거나, 48시간 유효한 유전자증폭(PCR) 검사 음성 판정 결과가 있어야 한다. 학부모와 학생들은 “백신 접종 강제”, “학습권 침해”라며 반발이 거세다.

현재까지 백신 부작용에 대한 연관성이 규명되지는 않았으나, 학부모들 사이에선 접종으로 인한 불안감이 여전한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일일 것이다.
일례로 최근 코로나19 확산세가 심각한 전주지역만 봐도 알 수 있을 정도다. 어제(20일)부터 3일간 전주시보건소에서는 관내 중학교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백신 접종’을 시작했다.

첫날 기린중학교에서 진행된 이번 접종에서는 27명의 학생이 접종에 참여했다. 당초 50명 이상이 될 때에만 ‘찾아가는 백신 접종’을 시시키로 한데서 미흡한 수치지만 첫날 임을 감안하면, 양호하다고 느낄 수도 있다.

그런데 이면을 살펴보면, 백신 접종에 대한 학부모들의 불안감을 확인 할 수 있다. 전주시보건소가 최근 교육부를 통한 학교단위 접종 수요조사에서 방문접종을 희망한 3개 학교, 117명의 중학교 학생 접종계획(20~22일)이 틀어졌다. 22일로 예정돼 있던 A중학교 방문접종이 학교 측의 요청으로 취소됐다. 학부모들이 학교접종을 받지 않고 그냥 별도로 접종한다며 반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으로 들어가면, 학부모의 자녀 양육권과 청소년의 학습권, 자기 결정권, 신체의 자유를 침해하는 행위라는 것이다.

앞서 진행된 수요조사에서 전주지역 신청학교는 당초 8개교였지만, 6개교가 접종을 철회했다. 결국 2개 학교에서만 방문 접종이 이뤄지게 됐다.
학부모들의 주장과 입장은 충분히 이해하고도 남는다. 하지만, 오미크론의 확산과 청소년 감염이 위험수위에 도달한 것도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전북의 12~17세 접종 완료율이 성인에 크게 모자라는 57% 정도에 그치고 있다.

청소년 접종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불안감과 불신을 해소가 관건이다. 이를 위한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정부 대책이 나와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접종 부작용에 대한 인과성 인정을 보다 넓게 적용해야 한다. “공동체 안전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거나 “국민의 불편함을 최소화한 조치”라는 구호는 이제 식상하기만 하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