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영기 전주대학교관광경영학과교수       

새해가 밝았지만 새롭지 않다는 느낌만은 필자뿐만이 아닐 것이다. 이러한 느낌의 배경에는 3년을 이어오고 있는 코로나 19가 큰 이유이다. 코로나 19로 인해 많은 중·소상공인의 어려움은 물론이지만 변변한 국가지원도 받지 못하면서 중대한 위기에 놓여있는 것이 관광산업이다.

코로나 시대, “관광이 사라져버렸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코로나 19 영향으로 ‘20년(251만 명)은 전년 대비 - 85.9% 감소로 88년 서울올림픽 이후 최저수준(’21년 93만 명 내외로 예상)으로 떨어졌다. 국민의 해외 출국 역시 ‘20년(427만 명)은 전년 대비 ?85.1% 감소한 수치를 보여줘 ’96년 해외여행객과 유사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는데 ‘21년에는 더욱더 감소해서 115만 명 내외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통계가 말해주듯 ’19년 대비 20년 관광업계 매출은 여행업 마이너스 85%, 호텔업 -48.4%, 유원시설업 ?61.9%, 국제회의업 -73.7% 감소로 추산된다.

이러한 상황은 언제쯤이나 회복될 것인가? UNWTO가 긍정적인 시나리오로 23년과 24년으로 회복을 예상하지만, 변이바이러스의 등장으로 기대감은 더욱 낮아지고 있는 형국이다. 이러한 관광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해 정부에서도 올해 관광 분야 금융융자 확대 (’21년 5,940억 원⇒‘22년 6,490억 원), 원금상환유예(총 3,607억 원), 관광융자 이자 0.5~1%p 경감(179억 원 이상), 특히, 전체 융자 중 공공보증기관 출연을 통해 신용보증을 지원하는 특별융자 규모 2배 확대(’21년 500억 원⇒‘22년 1,000억 원) 할 계획을 발표했다. 또한, 코로나 19 이후를 대비해 방한 관광 재개를 준비하고 있는데 전 세계 국가를 방역상황에 따라 3개 군으로 분류, 접종 완료자 격리면제 확대, 방역상황 고려 한 PCR 검사 완화 등과 관광시장 재건 및 회복 효과 극대화를 위해 중화권·동남아·중동·일본·구미·대양주 등 지역별 맞춤형 방한 마케팅을 시행하고 스마트관광 활성화를 목표로 스마트 관광도시 선정·조성 확대를 계획으로 ‘22년까지 10개소 추진하고 있다.

국내 관광 활성화를 위한 안심 여행 여건 마련을 위해 안전여행 캠페인 지속 추진, 안전여행상품확산, 관광 빅데이터 활용한 관광객 분산을 유도하고 ‘22년 상반기 관광 활성화 분위기를 위해 가칭 ‘일상회복 특별 여행주간’ 운영할 예정이며 새로운 테마 여행상품을 개발하기 위해 휴가지 원격근무, ’살아보기 형‘ 생활 관광, 반려동물 동반여행(5억 원), 야간관광(14억 원) 등 기반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정부정책과 함께 전라북도는 국가정책에 부합하는 관광정책들을 기획 시행하여야 하는데 필자가 현재 관광의 트랜드를 반영하고 지역과 연계한 주요한 이슈를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지역의 가장 큰 위기로 다가온 인구감소를 통한 지역소멸의 대안으로 관계인구를 늘리는 정책을 관광과 연계하여 실시하기를 제안한다. 관계인구는 2016년 일본의 시민활동가 다카하시 히로유키가 처음 내놓은 개념이다. 지방행정연구원에 따르면 관광객 성격인 ‘교류인구’는 지역과의 관계가 일회적이고, ‘정주’는 진입장벽이 높은 상황에서 둘 사이의 개념인 관계인구를 육성하자는 취지라고 하면서 경북의 경우 체류형 관광객을 잠재적 관계인구로 설정해 단계적으로 육성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체류형 관광객을 관계인구 대상으로 관리하고, 사이버 도민증 발급과 지역 관광지 이용 편의 지원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전북도 역시 이러한 관계인구 확대를 위한 정책 마련이 요구된다. 둘째, 관광서비스의 디지털화 정책을 펴야 한다. 디지털화란 디지털 역량을 활용하여 교통. 안내. 숙박. 체험 등 새로운 디지털 관광서비스로 2010년 이후 ICT 기술의 급성장과 함께 공유숙박 등 플랫폼 기반의 관광비즈니스모델이 급성장하였고 코로나 19로 인해 비대면 관광활동이 선호되면서 디지털화가 촉진되었기 때문이다. 새로운 디지털 관광서비스의 출현으로 관광산업의 재구조화가 전망되기 때문에 정책적으로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