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6세대는 지금 시점에서 정확히 말하면 586이다. 즉 나이 50대로 1980년대 대학을 다녔으며 1960년대 출생한 세대를 일컫는다. 386이라는 이름은 1990년대 그들이 사회 전면에 등장할 때 30대 나이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예 나이를 빼고 86세대라고 부르기도 한다.

586세대는 아주 뚜렷한 정체성을 가진 세대로 다른 세대와 확연히 구분된다. 민주화 운동의 주역이 가장 먼저 떠오른다. 엄혹한 군사독재 정권에 맞서 피를 흘려가며 민주화를 성취한 공로다. 그 다음은 시민사회의 주역이다. 민주화가 어느 정도 진전되면서 586세대는 그동안 취약했던 시민단체를 설립하고 활발한 활동을 폈다. 그리고 50대에 달하자 민주화의 과실은 온전히 그들의 몫이 됐다. 정계는 물론 경제계, 교육계 등 사회 전면에 86세대가 광범위하게 포진되고 주류이자 리더 그룹으로 우뚝 섰다.

이들에 대한 공격의 주 포인트는 ‘장기 집권’과 ‘독과점’ 그리고 도덕적 ‘내로남불’ 정도로 요약할 수 있다. 이들은 20대 때 민주화 운동을 주도했다. 30대에는 시민단체를 결성하고 진보 진영을 끌더니 40~50대에는 정치 및 경제 권력을 장악한 채 오늘에 이른다는 것이다. 사회 상층부를 완전히 장악한 이들이 도무지 물러설 기미가 없다고 비판한다. 1980년대부터 21세기까지 살아남아 사회를 좌지우지 한다는 지적이다.

586세대에 대한 다른 세대 특히 젊은이들의 분노는 내로남불 행태에서 치솟는다. 오늘의 헬조선이 바로 이 세대가 만든 것이라고 불만을 토로한다. 빗나간 성 의식을 비롯해 부동산 투기, 교수 갑질, 대학 부정입학 등등 사회적 문제들의 배후에는 586세대들이 도사리고 있다는 인식이다.

대선을 앞두고 586세대 자성론과 용퇴론이 같은 586에 속한 여당 국회의원에 의해 제기돼 주목을 끌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김종민 의원은 집권해도 임명직은 맡지 말고 정치를 바꾸지 못할 바에는 아예 후배들에게 정치를 물려주자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김의원은 이렇게 주장하는 이유를 386정치가 지난 30년간 민주주의를 제대로 못한 때문이라고 자성의 목소리를 냈다. 대· 중소기업 임금 격차가 더 심화 되고 출산율이 세계 최저로 떨어진 현실을 예로 들었다.

586에 대한 비판적 시각은 갈수록 날카로워지는 듯하다. 세대 간 불평등이 가장 큰 이슈다. 부와 권력을 거머쥔 586이 불평등 생산자가 돼 버렸다고 사람들은 목소리를 높인다. 올해 대선에서 2030 표심이 민주당을 등지는 흐름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586은 이제 기로에 선 것 같다. 선거 결과야 어떻든 그들을 향한 비판의 화살은 더 많아지고 또 거세질 형국이다. 1980년대 민주화 운동의 광휘가 이제 서서히 사그라드는 모양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