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혁신을 이끌어갈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 플랫폼사업(RIS, Regional Innovation System)’은 교육부가 지역 특성에 맞는 사업과 연계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인재를 지역에서 직접 양성하는 사업으로 교육계 최대 재정지원사업으로 꼽힌다.

수도권 집중에 따른 지역 소멸 등에 대처하기 위한 사업으로서, 지방자치단체, 대학 및 다양한 지역혁신기관들이 플랫폼을 구축하여 지역의 중장기 발전목표에 부합하는 지역의 핵심분야를 선정, 지역 내 대학들이 핵심분야와 연계하여 교육체계를 개편하고, 지역혁신기관과 협업하여 과제를 수행한다.

지방대학의 위기는 지역소멸 위기의 가속화로 이어지기 때문에 지역혁신을 위한 인재양성과 활용 역량을 결집하고,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는 미래 혁신산업과 대학을 긴밀한 협업체계로 묶고 구심점을 확립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2020-2021년 지난 2년 동안 광주전남은 에너지신산업, 미래형운송기기, 대전ㆍ세종ㆍ충남은 미래모빌리티, 소재ㆍ부품ㆍ장비, 미래모빌리티 ICT, 울산ㆍ경남은 제조엔지니어링, 제조 ICT, 저탄소그린에너지, 충북은 제약바이오, 정밀의료기기, 화장품ㆍ천연물을 핵심분야로 선정한 바 있다.

전북도와 대학은 지난 2월 28일 지역혁신사업 전북지역협업위원회 협약을 체결하고 지역 주력산업의 첨단 산업화 및 고도화를 위한 핵심 분야로 친환경 수소ㆍ재생에너지, 친환경 다목적 수송기기를 전라북도 주요업무계획과 지역산업진흥계획, 전북형 뉴딜종합계획, 전북 수소산업 발전계획과 연계한 사업신청서를 교육부에 예비접수했다고 밝혔다. 오는 4월 선정이 확정되며 총 사업비 2,440억 원을 집행할 계획이다.

전북도가 제시한 친환경 수소ㆍ재생에너지 분야는 에너지 통합관리와 그린수소,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미래형 에너지 부품 개발을, 친환경 다목적 수송기기 분야는 수소상용차와 전기특장차, 친환경 스마트농기계, 차세대 모빌리티부품 등이 주요 대상이다.

‘20년 탈락 당시 대학 자체 역량 문제뿐만 아니라 지자체 차원의 행정적ㆍ재정적 지원이 다소 아쉬웠고, 지자체와의 협조체계 부족이 가장 큰 감점 요인으로 꼽힌 바 있는데, 한차례 탈락의 고배를 마셨던 만큼 이번 공모에 같은 실수를 뒤풀이해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학과 지자체, 관련기관, 지역 국회의원들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사업 선정을 위한 추진 의지를 강력하게 표출해야 한다.

특히, 새로운 패러다임의 지역 인재양성 방안이 될 수 있는 사업으로 선정과정에서 ‘정치권의 입김’이 작용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정치권의 역량 발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실제 지난 번 공모에서 유력 대권주자 및 정권 실세 의원들이 대거 포진 돼 있는 지역인 경남과 충북(단일형), 광주ㆍ전남(복수형) 지역이 선정됐다는 후문이다.

대학 또한 지역과 상생하고 지역발전에 기여하는 것이 대학의 책무가 된 시대다. 지자체-대학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에 대학들이 선제적으로 나서 도내 대학의 특성화를 기반으로 지역인재양성에 최선의 노력이 요구된다.

전북도는 참여 대학과 산업현장의 애로사항을 적극적으로 청취ㆍ해결하고, 친환경 수소ㆍ재생에너지, 친환경 다목적 수송기기 분야의 인재 양성과 기술개발이 곧 지역소멸을 막고 지역성장의 핵심 축이라는 인식으로 지역 핵심산업과 대학, 관련기관 협업체계 등 지역혁신 플랫폼 구축에 전심전력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