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월1일 치러지는 지방선거에서 무투표로 당선된 광역의원이 도내에서만 무려 22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13일 마감된 6·1지방선거 후보등록 결과 전북지역 광역의원 선거에서 단독출마로 인한 무투표 당선 선거구는 전주 10곳, 군산 3곳, 김제와 완주 각각 2곳, 익산, 정읍, 남원, 고창, 부안이 각 1곳씩 등으로 도내 광역의원 지역구 36곳의 절반이상에 달했다. 전원 더불어 민주당 소속이고 무투표 당선자수로는 역대 지방선거 중 최다였다. 전국적으로도 광역의원 무투표 당선이 확정된 지역 106곳의 20%가 넘는 무더기 무투표 당선지역이 전북에서 나왔다.

무투표 당선자가 나온 선거구에선 선거비용을 줄이고 혼란을 방지한다는 이유로 선거운동도 금지되고 벽보나 홍보물을 붙이는 등의 유세도 할 수 없게 된다. 이들 지역 유권자들은 자신들의 권리와 의무를 대신해 지역살림을 감시하는 권한을 위임해줄 도의원의 면면조차 제대로 살피지 못한 깜깜한 상태에서 선택 기회도 없이 결과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마주하게 된 것이다.

대선직후 지방선거라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의 양강 구도가 형성되면서 당내 경선에 부담을 느낀 후보들의 무소속 출마 자제가 무투표 당선지역을 늘렸다는 분석이다. 특히 광역의원선거는 지자체장이나 기초의원과 달리 선호하는 정당 투표에 더 많은 영향을 받았던 터라 지역의 이같은 분위기 역시 무투표지역 확대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전국 지방선거 경쟁률이 1.8대 1로 역대최저치를 기록하면서 기초단체장 무투표당선 지역 6곳 모두가 호남과 영남지역에서 나왔고 지방의원의 경우도 대부분 호영남 지역인 것에서도 이는 확인된다. 공천이 바로 당선인 지역으로 인식되면서 유권자들이 자신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길을 원천적으로 막아버리는 현재의 무투표 당선 선거제도에 대한 개선 필요성과 함께 최소한 단독출마자에 대한 찬반의견이라도 물어야 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는 이유다.

특정당 공천이 주민투표도 없이 당선장으로 바뀌는 너무도 비정상적인 상황은 정당공천의 폐해만 늘릴 뿐 지자체엔 결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지방자치의 의미를 되살리고 진정한 주민의 대표를 주민이 선택할 수 있는 권리를 박탈한다 해도 과언이 아닌 무투표당선이다. 보다 심도 깊은 개선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