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에 따라 근로자 1인당 평균 총급여액이 최대 1000만 원 이상 차이가 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전북지역 근로자 연평균 소득이 이중에서도 전국 최하위 수준인 꼴찌에서 두 번째라는 자료가 나왔다. 전북 경제력을 감안할 때 비록 상위수준은 아니라 해도 전국 평균 내외는 유지할 것이란 기대를 했지만 희망사항일 뿐이었다.

더불어 민주당 김회재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아 분석한 '광역자치단체별 근로소득 연말정산 신고현황'자료에 따르면 2020년 전북 거주 근로자 연평균 소득은 3400만 원이었다. 전국평균 3830만원보다 400만 원 이상 낮고 제주의 3270만 원을 제외하면 전국 최저 수준이다. 근로자 수에 있어서도 58만 명에 불과해 광주(53만 3천 명), 전남(55만 6천 명)을 겨우 앞섰을 뿐 이다. 전북 근로자들은 타도에 비해 크게 부족한 일자리로 취업 기회 자체를 잡는 게 힘든 것은 물론 그나마 일자리 역시 전국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저임금에 노동력을 제공하는 현실이 여실히 드러난 것이다.

특히 1인당 평균 총급여액이 가장 많은 지역은 공무원·공공기관 종사자가 많은 세종(4520만원)이었고 현대차 공장을 비롯해 양질의 제조업 일자리를 확보하고 있는 울산(4340만원)이 서울 다음가는 전국 세 번째로 1인당 총 급여가 높았다. 고임금을 보장 받는 대기업이나 공공기관, 금융회사들이 대거 몰려있는 지역들이란 점에서 지역균형발전의 핵심이 결국 양질의 일자리제공에 있음을 재차 확인시켜준 결과가 아닐 수 없다.

자료를 분석한 김 의원은 국가산업단지 입주기업의 본사를 지역으로 이전해 노동자 안전도 지키고 경영 부담도 낮춰 지역과 서로 상생할 수 있도록 ‘지역본사제’를 도입하자고 주장했다. 주요기업들의 하청공장 소재지로 전락해 버린 비수도권 지자체들이 자구노력만으론 절대 경쟁력을 갖출 수 없는 현실을 감안해서다. 세계적 자동차 회사인 독일의 BMW·아우디·벤츠 등이 지역본사제를 통해 지역과 기업이 함께 성장하는 상생성장의 길을 가고 있다고 한다. 전략의 한 축으로 적극 검토해볼 대안 중 하나임이 분명해 보인다. 본사 지방이전 기업들에 대한 각종 특례규제 적용, 세금 감면 등의 정책적 지원이 이뤄진다면 기대이상의 성과를 거둘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정권을 걸고 추진해온 균형발전이지만 전혀 속도가 나지 않고 있는 지금 아닌가. 가능성이 있다면 뭐든 해야 할 지금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