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내 주요도시 곳곳에서 집값보다 전세가격이 더 높은 역전세 현상이 일어나면서 세입자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2년 전 취득세 규제가 강화되면서 이를 피할 수 있는 대상으로 1억 원 미만 아파트가 투기꾼들의 타깃이 됐고 그동안 상대적으로 집값이 저렴했던 도내 소형아파트를 중심으로 한 외지인들의 갭투자가 성행하면서 지역 주택시장이 혼란이 빠졌고 그 부정적 파장이 현실이 되고 있는 것이다.  
실제 그동안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이나 인구 밀집 일부 대도시 지역에서나 일어나는 일로 여겨졌던 ‘깡통전세’가 전주 구도심을 비롯해 군산. 익산, 정읍 등으로 까지 확산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 통계에 따르면 최근 3개월 도내 갭 투자 매매거래 비율 1위는 군산으로 전체 1096건 중 월별 118건이나 됐고 그다음이 전주시 완산구로 1166건중 80건, 전주시 덕진구가 1086건중 76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갭투자를 했다 해도 집주인이 부담할 능력이 된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최근 갭 투자는 전세수요는 늘어난데 반해 주택가격이 하락해 나타나는 단순한 역전현상에 더해 임대인이 처음부터 자기자본도 없이 ‘마이너스 갭투자’를 목적으로 은행 대출과 비싼 보증금을 받아 주택을 취득하는 경우까지 빈번해 지면서 우려를 키우고 있는 실정이다. 
경기가 급격히 침체되고 은행 금리까지 심각한 수준으로 치솟은데 따른 주택가격 하락은 결국 보증금을 제때 받지 못하거나 사는 집이 경매를 당하는 최악의 상황으로 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모든 피해는 고스란히 세입자들이 감당해야 한다. 
정부도 문제를 인식하고 전세보증 가입률을 높이기 위한 보증료 인하, 전세피해 지원센터 설치, 악성임대인 공개 등의 방안을 추진 중이긴 하다. 전세보증금이 사회초년생들에겐 전 재산이고 중년세대에겐 유일한 노후자금이라며 이를 국가가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 책무라는 입장도 내놨다. 하지만 그동안에도 깡통전세·역전세 문제가 터질 때 마다 대책이 나왔음에도 안정되기는커녕 이제 상황은 전국의 부동산시장으로 오히려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역전세난 예방 역시 부동산 안정화의 분명한 축으로 절대 소홀히 다뤄질 문제가 아니다. 정부가 경고한 모든 조치를 이행하면 더 이상 억울한 일은 없을 것이란 믿음을 줄 수 있는 대안이 서둘러 마련돼야 한다. 서민들의 안정주거를 위협하는 상황을 더 이상 방치하면 안 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