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  

무릎 관절에 자리하고 있는 구조물 중 하나인 전방십자인대는 관절의 안정성에 큰 기여를 하고 있는 조직이다. 전방십자인대는 튼튼한 조직이지만 비틀림에는 취약한 편이기 때문에 무릎이 비정상적인 방향으로 꺾어지거나 다리가 크게 비틀려지는 상황에서 파열되기 쉽다. 파열 시에는 무릎에서 ‘뚝’하는 파열음이 들리면서 무릎에 통증이 느껴지고, 무릎이 붓거나 흔들거리는 듯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은 스포츠 선수들에게 특히 자주 발생하는 부상 중 하나지만 축구나 농구와 같은 운동을 즐기는 일반인들도 주의해야 하는 질환이다.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되는 원인은 크게 접촉성과 비접촉성 외상으로 나뉘는데, 비접촉성 외상에 의한 발생이 전체 발생률 중 80% 이상을 차지한다. 비접촉성 외상은 대부분 점프 후의 불안정한 착지, 급작스러운 방향 전환, 외반력, 과신전 등의 동작에서 나타난다. 그러므로 무릎에 충격이 가해진 후에 이상 증세가 나타났다면 가급적 빠르게 전문병원이나 정형외과에 방문하여 정확하게 검사를 받는 것이 권장된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정형외과 전문의)는 "전방십자인대의 파열을 확진하기 위해서는 MRI 촬영과 같은 정밀검사가 필요한데, MRI 촬영에 앞서 이학적 검사를 먼저 실시한다. 이학적 검사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환자의 정강이를 당기거나 돌려보면서 무릎 관절이 정상적인 기능을 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인데, 이때 환자의 무릎이 덜컹거리거나 밀리는 등의 전방십자인대 파열 양성 증상이 나타난다면 MRI 촬영을 진행한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김상범 원장은 "전방십자인대의 일부분에만 손상이 발생한 환자는 보조기를 착용하거나 물리치료, 주사 요법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진행하여 호전을 기대한다. 만약 전방십자인대가 완전히 끊어졌거나 절반 이상이 찢어진 환자라면 수술적 치료가 고려된다. 수술은 끊어져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손상된 조직 대신에 새로운 인대를 넣어주는 과정으로 진행된다"라며 "수술이 필요한 상태인데도 불구하고 수술을 하지 않은 채 무릎을 방치한다면 짧게는 몇 년, 길게는 10~20년 사이에 무릎에 퇴행성관절염이 발생하게 되니 가급적 치료를 미루지 않는 것이 좋다"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