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의회와 전교조전북지부가 급격한 인구 감소로 문을 닫는 농촌의 작은학교를 살리기 위한 대안 마련을 위해 공청회를 열었다. 농촌교육의 붕괴는 결국 멀지 않은 지역사회소멸로 이어지기에 단순한 학교 살리기 차원을 넘어 특별법이라도 만들어 대응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올 만큼 심각한 위기에 대한 공감대는 넓었다.

도내 농산어촌에서부터 시작된 작은학교들의 폐교는 이제 인구쏠림의 부침이 심한 도심지역으로 까지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도내 전체 770개 학교중 60명이하 소규모학교가 307개교로 전체의 40%에 달하고 10명미만의 초미니 학교도 3%인 24개교 였다. 지난 2020년 297개교였던 것과 비교 1년여 만에 소규모학교가 10개나 늘어난 것으로 특별한 대책 없이 지금 상황이 지속된다면 소규모 학교수증가세는 더욱 빠르게 진행될 전망이다.

경제적 이유로 인한 탈농촌과 탈지방이 수십년간 지속되면서 도내 대부분 지자체가 소멸위기에 몰릴 정도로 인구는 급격히 줄었다. 농촌에서 어린아이 울음소리가 그친지 이미 오래고 적지 않은 농산어촌 교육지원대책이 나왔음에도 갈수록 커지는 도·농간 교육격차는 어렵게 버텨온 지역학교 까지 위기로 몰아넣고 있다.

각 지자체 마다 학교를 지키고 살려야만 지역의 미래를 말 할수 있다는 급박함에 나름의 대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효과로 이어가기엔 역부족인게 사실이다. 학교를 살리기 위해선 무엇보다 학생이 있어야 하고 이를 위해선 지역의 교육여건 개선은 물론 보호자들을 위한 정주여건, 경제활동 여건 확대 등을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정책이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다. 공청회에 참석한 많은 전문가들 역시 도시학교와 견줄 수 있는 교육인프라 확보, 시·군간 공동통학구형 어울림 학교 지정 등의 보다 적극적인 실천적 대책마련이 필요성을 강조했다.

작은학교를 살릴 방법도 있고 가능성을 확인한 주변의 지자체 역시 적지 않다. 귀농·귀촌사업의 대상을 젊은층으로 적극 확대해 지역교육과 연계시키는 방안에서부터 학부모 이주에 필수적인 주택문제나 지역 일자리, 교육개선을 위한 사업비 지원 확대에 이르기 까지 구체적 사업추진에 속도를 내야한다. 교육에 대한 지원과 투자에 효율성을 대입해선 안 된다. 작은학교는 통폐합이 아니라 지원확대를 통해 지역경쟁력의 한 축으로 육성하는게 맞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