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땅을 사는 사람들의 생생한 목소리가 나왔다. 그것도 유명인사도 아니고 명망이 있는 학식가도 아니다. 우리 주변사람들의 살아있는 이야기가 한 권의 단행본으로 나왔다, 진안군 부귀면 황금리 방곡마을 사람들의 자선 ‘방곡에 살다’가 심심에서 발간됐다.

전형적인 농촌마을의 살아있는 이야기가 구술된 이 책은 대도시가 아닌 시골의 오늘의 모습을 살아있는 목소리로 담았다는 점에서 구술사적 자료가 크다.

전형적인 농촌마을로 운장산에 안긴 방곡마을 총 열아홉 가구가 살고 있다. 그러나 그 중 한 가구는 마을과 동떨어져 있어 공동체로 묶일 수 있는 요소가 적고, 나머지 두 집은 마을에 산다기 보다는 동네 사람이어서 집은 열여섯 가구 뿐이다. 자서전에도 열여섯 가구의 이야기가 담겼다. 방곡마을 자서전이 주목받는 이유는 바로 전국 최초로 마을에 살고 있는 토박이들의 삶을 전부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 책에서 빨치산과 천주교 관련 이야기를 빼놓을 수 없다.

감추고 싶고 잊고 싶었던 근대사의 아픔을 고스란히 담은 이 책을 통해 빨치산도 새롭게 부각된다. 빨치산이 처음 쳐들어왔을 때는 미처 대항하지 못해 온 마을이 약탈당하고 불에 타버렸다. 그 사건으로 3명이 죽고, 1년 동안 동네에는 사람이 접근하지 못했다. 아랫마을에 피난해 있던 마을 사람들은 자비로 총을 사들고 스스로 치안대를 조직해 빨치산을 몰아냈다. 열일곱살이란 어린 나이, 총부리를 겨누며 무섭기도 했었지만 나와 내 가족이 살아온 터전을 지켜야 한다는 생각이 더 컸다.

특히 마을 주민 대부분이 천주교 신자인 점도 마을 역사와 깊은 관련이 있다. 방곡마을은 오래 전 천주교박해를 피해 숨어든 신자들이 모여들면서 커진 마을이다. 유아세례를 받고 지금껏 독실하게 종교생활을 해오거나 천주교 집안끼리 혼사를 치르거나 한 경우가 많았다.

방곡마을에서 태어나 한번도 마을을 떠난 적이 없어 60호가 넘게 살던 마을의 옛 모습까지 기억하고 있는 김애순 할머니와 유순애 할머니의 어머니인 아흔살 신오목 할머니가 살고있는 세 여자들의 집, 무쇠솥이 걸려있는 재래식 아궁이가 오랜 세월 손때로 반질반질 윤이 나는 김영기 정종님 부부집까지, 사람 사는 이야기가 정겹고 포근하기까지 하다.

방곡마을 자서전은 마을의 고유한 전통문화와 지식을 발굴, 농가소득을 증대시키고 독특한 농촌문화의 맥을 이어가는 ‘2008 농촌전통테마마을조성사업’ 일환으로 만들어졌다.

지난해 9월과 10월 두 달동안 집집마다 찾아다니며 기록한 것으로, 글은 최정학, 김효정, 김영신씨가 썼다. 발품 판 살아있는 글들이 더욱 소중한 것은 있는 그대로 옮겨놓은 가치일 것이다./이상덕기자·lees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