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은행이 대형화되기 위해서는 대규모 증자를 통한 자본의 대형화가 필요하지만 대기업이 없는 지역경제 여건상 쉽지 않다.
그러나 대규모 증자가 이뤄지지 않는다고 해서 대형화 자체가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무엇보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전북은행의 역할론이 강조되고 있는 만큼 지방은행을 키울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은행 내부는 물론 지역사회 차원에서 모색해야 한다.
가장 구체적으로 나오고 있는 방안은 지역자금의 역외 유출을 차단하고, 이를 지역 금융권에서 책임지고 운용·관리해야 한다는 것. 외부에 유출되는 지역자금을 지방은행이 맡게 된다면 도내 중소기업들에 대한 대출 등 자금지원확대 및 지역사회 환원사업 등이 더 탄력을 받게 되면서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할 수 있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동안 가장 구체적으로 거론됐던 법원금고 수탁문제를 비롯해 지방자치단체 금고 영역 확대 등과 함께 도내 지방대 등록금 창구 역할을 해야 한다는 방안 등이 나오고 있다. 또 도내 근로자들의 4대보험료 즉 지역에 본거지를 두고 근무하면서도 국민연금, 의료보험, 고용보험료 등을 지방은행에 예치함으로써 연간 천문학적인 자금의 역외 유출을 막아야 한다는 것.
여기에 최근 확정된 2012년 혁신도시 입주기관들의 주거래 은행이 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성이 있다. 은행 관계자는 “물론 기존에 거래하고 있는 시중은행이 있겠지만, 지방에 본사를 둔만큼 지방은행을 이용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강조한다면 충분히 가능한 일이 될 수도 있다”며 “시중은행을 누르고, 혁신도시에 입주할 공공기관들의 주거래은행이 될 경우 그 경제적 파급효과가 엄청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여기에 타 지역으로의 영업력 확대 필요성도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특히 지방은행이 없는 충청도 지역에 대한 집중공략이 이뤄져야 한다. 이미 대전점이 개설되기는 했지만, 이를 발판으로 충청지역에서의 영업활동을 더욱 공격적으로 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경제계 한 인사는 “대기업이 사실상 전무한 지역경제 현실상 자본 증자를 통한 대형화는 상당히 어려운 문제”라며 “대신 지방은행 역할론을 적극 부각시키고, 은행 스스로의 역량을 강화해 현실적으로 끌어올 수 있는 자금을 최대한 유치해 그 규모를 키워나갈 수 있도록 은행과 지역사회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김은숙 기자myiope@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