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의 고용시장은 여전히 어둡다. 2000년 이후 10년간 도내 각종 고용지표는 사실상 전국 ‘꼴찌’ 수준에 머물고 있다. 선거 때마다 등장했던 ‘일자리 창출’은 헛구호가 되고 있다.
그래도 조금씩 희망은 보이고 있다. 2005년 이후부터는기업유치가 조금씩 이뤄지면서 고용지표가 아주 조금씩 나아지고 있는 것. 이에 본지는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29일 발표한 ‘전북지역 주요 고용지표 현황과 향후과제'를 토대로 2000년 이후 전북지역의 고용지표 변화를 살펴보고, 타지역과의 비교·평가 및 고용 부진요인을 분석, 대응방안을 두차례에 걸쳐 모색해본다.

<상>현황 및 평가
▲취업현황
이날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발표한 전북지역 고용 관련 자료에 따르면 도내 경제활동인구는 1990년대 말의 86만8000명에서 2009년에는 84만1000명으로 2만7000명이 감소했다. 이는 취업 또는 진학 등을 위해 지역내 청-소년들이 수도권 등지로 이동했기 때문이다.
2000년대 들어 경제활동인구의 변화를 다른 지역과 비교해 보면 도내는 3.1% 감소해 전남(-9.8%), 부산(-5.7%)보다는 나았지만, 경제규모가 비슷한 충북(8.6%)과 강원(2.4%)에 비해서는 감소폭이 컸다. 반면 경제활동참가율은 1990년대 말 58.3%에서 2009년 59.3%로 1%p 상승했다. 이에 대해 전북본부 김민수 과장은 “이는 전국적인 경제활동참가율의 정체와는 대조적인 현상"이라며 “2000년부터 2004년까지의 정체상태를 벗어나 2005년 이후 1.9%p가 상승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도내 취업자 수는 1990년대 말의 82만2000명에서 2009년 82만6000명으로 소폭 늘어났다. 하지만 경제규모가 비슷한 충북(11.6%)과 강원(5.2%)에 비해서는 턱없이 부진하다.
▲실업률 및 고용률
도내 실업률은 2000년대 들어 꾸준히 낮아지고 있으며 고용률도 2005년 이후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이는 다소 희망적인 흐름이다. 2009년중 실업률은 경기도를 제외한 지방 8개도 평균(2.0%)을 하회한 가운데 경제규모가 유사한 강원(1.7%) 및 충북(1.8%)과 비슷한 수준이다. 하지만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최근까지도 뚜렷한 개선 기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반면 고용률은 2005년 이후 3년 연속 큰 폭으로 상승했다. 다만 2008년과 2009년에는 경기침체 영향으로 하락했다.
▲임금 및 노동생산성
임금은 2005년 이후 상대적으로 빠르게 상승했다. 이에 따라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2006년 이후 지방 8개도 평균 수준에 근접하고 있다. 실제 2005~09년중 연평균 임금상승률은 5.6%로 지방 8개도 평균(5.1%)을 상회한 가운데 전국(5.6%)과 비슷한 수준이다. 노동생산성은 지방 8개도중 여전히 하위권에 머물러 있는 가운데 임금에 비해 노동생산성이 낮은 수준이다
▲평 가
전북본부에 따르면 도내 고용지표는 2005년 이후 전반적으로 개선 추세를 지속해 왔다. 하지만 전북과 경제여건이 비슷한 다른 지역과 비교해 보면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많다.
7개 고용지표중 실업률을 제외한 6개 지표(경제활동인구 증감률, 취업자 수 증감률, 경제활동참가율, 고용률, 임금, 노동생산성)가 지방 8개도 중 7위를 기록하는 등 최하위권에 머물고 있다. /김은숙기자myiope@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