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혁신도시개발사업이 도외업체 잔치판으로 전락했다는 지적이다.
특히 도내 건설업이 줄도산 위기에 처하는 등 심각한 상황에 농촌진흥청 등 일부 이전기관들이 도내로 본사를 이전하는 과정에서부터 지역업체 참여 등 지역경제활성화 대책을 외면했다는 주장이다.
지난해 5월30일 완공된 지방행정연수원을 제외하고 현재 전북혁신도시에서 공사중인 농촌진흥청 등 9개 이전 공공기관의 공사금액은 1조원에 이른다.
이 중 2013년 도급액 3380억원 가운데 83%는 지역업체가 아닌 서울, 경기, 부산, 전남, 대구 등 타지역 업체에 돌아간 것으로 파악됐다.
도내 업체의 도급액은 587억원(17%)에 그쳤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은 도급액 중 40%를, 국립축산과학원 45%, 한국전기안전공사 43%, 국민연금공단 50%, 한국농수산대학 49% 등 지역업체가 일부 공동도급사로 참여한 곳도 있었다.
하지만 100% 타지역업체를 원도급업체로 선정한 공공기관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국립식량과학원, 대한지적공사 등 4곳에 달했다.
이들 4개 기관의 2013년 도급액만 2068억원에 이른다.
뿐만 아니라 지난해 2280여억원에 이르는 하도급액 중 1931억원(85%)을 외지업체가 맡아서 공사를 진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농촌진흥청의 경우 94%, 국립농업과학원 99.1%, 국립식량과학원 86.88%, 국립원예특작과학원 83%, 국립축산과학원 79.4%, 대한지적공사 88%, 한국전기안전공사 95%, 한국농수산대학은 100% 도외업체가 하도급 공사를 진행했다.
나머지 15%인 352억원만 도내 업체에 돌아갔다.
반면, 전남과 경남지역 혁신도시의 경우 지역업체 참여율이 80~90%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전북혁신도시와 대조를 보였다.
이와관련 전북도의회 조계철 의원은 “신축건물들이 들어서면서 외형상 활기찬 모습과는 달리 공공기관들의 독자적인 행보에 지역경제가 냉랭하기만 한데, 공공기관들이 지역경제를 외면하고 있는 모습은 청사이전 공공현장에서부터 쉽게 찾아볼 수 있다”며 “전북의 경우 전남이나 경남 등 다른 혁신도시에 비해 지역업체 참여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드러나 도민들의 실망감과 참담함이 매우 크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조 의원은 “말로만 혁신은 안되고 외형상 번듯한 신도시만이 아닌 침체에 빠진 지역경제를 진정으로 혁신하려면 지역과 상생 협력하려는 이전공공기관들의 자세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혁신도시 특별법 제정의 근본취지가 지역균형발전에 있으며 이 때문에 일감부족에 허덕이던 지역 업체들이 혁신도시 이전 효과를 기대했었고 앞으로 지역과의 상생협력에 얼마나 동참할지 걱정스럽다”고 덧붙였다./김선흥기자·ksh9887@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