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수업혁신기반 마련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 교과서’ 사업이 제대로 운영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박홍근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디지털 교과서 시범학교 운영현황’자료에 따르면, 디지털 교과서 시범학교로 지정된 학교 163개교(초등 81개교, 중등 82개교) 중에 디지털 교과서로만 수업을 진행하는 학교의 비율은 3.7%에 불과했고, 디지털 교과서 중심으로 수업을 진행하기는 하지만 아날로그 서책을 병행하여 수업을 진행하는 학교마저도 38.7%에 그쳤다.
디지털 교과서 사업은 이명박 정부 당시 스마트교육 추진전략의 일환으로 추진되면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간 2조 2,280억원을 투입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당초 디지털 교과서는 기존 교과 내용(서책형 교과서)에 용어사전, 멀티미디어 자료, 평가 문항, 보충?심화학습 내용 등 다양한 학습자료를 제공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높이고 학습능력이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효용성에 의문이 제기되면서 예산이 대폭 축소돼 올해 예산은 137억원 정도에 머물렀다.
이에 따라 도내 시범학교에 지원되는 에산은 학교당 1,700만원 수준에 그치면서 학교내 무선망 설치나 스마트 교실 기반시설 등을 갖추는데 많은 곤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이 디지털 교과서가 iOS7 뷰어 비정상종료, iOS7 HTML 레이어 겹침 등 운영환경 및 기술변화에 따른 오류와 오탈자, 자료의 출처 불분명 등 내용상 오류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전북의 경우 지난 2012년 8개 초중학교가 시범학교로 선정돼 운영됐지만 올해는 이리 북중, 전주 우전중, 무주 중앙초등 등 4개 학교로 줄었다.
/이병재기자·kanadasa@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