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체전에서 종합 14위로 주저앉은 전북체육의 내실을 다지기 위해서는 도덕성을 갖춘 사무처장의 인선뿐 아니라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대안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뿌리가 되는 학교체육에 대한 관심과 투자의 확대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체육회 개혁
현재 전북체육회는 제주 체전 부진의 후폭풍에 시달리고 있다.
‘학교 체육이 부실해서, 실업팀이 없어서, 체육회가 무능해서’라는 진단이 무성하면서 김대진 사무처장이 ‘자진사퇴는 없다’던 자신의 발언을 거둬들이고 사퇴했다.
김 사무처장이 사퇴하자 물밑에서 진행되던 차기 사무처장에 대한 자천타천 작업들이 본격화 되는 모양새다.
도체육회 사무차장을 지낸 이대원씨, 전주대 체육부장을 역임한 최병선씨, 전북사이클연맹 부회장인 조화훈씨가 공개적으로 차기 사무처장에 대한 의사를 내비쳤으며 사무처장 직무대행인 최형원 부장도 물망에 오르내리고 있다.
여기에 공무원의 임명 가능성이 흘러나오고 있는 등 아주 의외의 인물이 체육회 개혁을 책임지게 될 것이라는 관측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전북도가 연말 체육회 이사회를 통해 새로운 사무처장을 뽑는다고 약속한 만큼 당분간 도내 체육계는 사무처장을 향한 인사들의 경주가 뜨거울 전망이다.
이와 관련 한 체육계 인사는 “최근 몇 년간 체육인들이 합심하지 못하고 특정 인맥을 중심으로 줄을 서는 폐단이 있었다”며 “지난 시절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도덕성과 추진력이 새 사무처장의 필수 자격 조건으로 생각된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인사는 “체육회를 이끌어가는 이사 등 임원진 가운데 비전문가이거나 거의 활동을 하지 않는 분들이 많이 있는 것으로 안다”며 “효율적인 임원 구성, 경기력향상위원회 등 체육회 6개 위원회의 활성화도 사무처장 인선 못지않게 중요하게 다뤄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특히 체육회를 포함한 체육발전에 대한 고민은 특정인 몇몇이 비공개로 논의하는 형태보다는 공개적인 포럼과 토론회를 통해 체육인은 물론 도민들도 공감하고 협조할 수 있는 소통 구조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도 새겨들어야 할 점이다.
▲학교체육 활성화
학교체육이 전북체육의 뿌리라는 사실은 누구나 인정한다. 하지만 각론에 들어가면 온도차 있다.
전북교육청이 견지하고 있는 근본적인 기조는 ‘교육과정으로서의 체육’이다. 이런 기조 아래 정규수업체육과 스포츠클럽활동, 그리고 학생선수 육성이라는 두 줄기의 흐름이 있다. 최근에는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의 일환으로 일반 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이 엘리트 체육 못지않게 중요시 되고 있는 것이다. 일본의 경우처럼 왕성한 클럽 활동을 통해 엘리트 선수가 자연스럽게 발굴되는 시스템이 장기적인 목표라고도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도교육청의 입장을 체육인들은 수용하지 않는다. 체전 후 열린 경기단체 전무이사회의에서 가장 많이 공격을 받은 문제가 바로 학교체육으로 이날 전무들은 선수 저변확대를 위해 도교육청이 더 많이 노력해야 한다는 입장을 줄기차게 내놓았다.
하지만 학교체육의 문제를 교육청 책임만으로 돌릴 수는 없다는 시각도 있다.
한 예로 학교 운동부 지도자 수를 보자. 도세가 비슷해 경쟁도인 강원도의 경우 도교육청이 185명을 고용하고 있지만, 도체육회, 50명, 지자체 269명 등을 고용해 모두 504명이 지도자로 활동하고 있다. 충북의 경우도 도교육청 250명에 도체육회가 30명을 고용하고 있다. 반면 전북은 도교육청 250명 외에 도체육회가 동계종목에 3명을 고용하고 있고 지자체는 단 한명도 고용하지 않고 있다.
이는 시·군실업팀 육성을 위한 전라북도의 예산지원이 당초 약속인 40%에서 현재는 5%로 떨어졌다는 전무들의 지적과 일정 부분 궤를 같이 하고 있다.
장기적으로 교육청 예산에 각 경기연맹, 체육회, 지자체의 예산이 더해진다면 더 큰 수확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가령 눈앞의 성적을 위해 수억 원을 들여 일반 선수를 영입(?)해오는 것보다 그 돈을 초중학교 체육에 장기적으로 투자해 고등학교부터 결실을 얻는 방법이 전북체육에 더욱 도움이 된다.
꿈나무 육성이 중요하다. 더 나아가 발굴된 꿈나무들이 도내에서 맘 놓고 활동할 수 있도록 대학이나 실업팀 창단이 필요하다.
이런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뭘 해 달라’하기 전에 ‘뭘 도울까’를 먼저 질문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학교, 지자체, 체육회, 경기연맹이 ‘네 탓’ 이전에 서로 머리를 맞대야 하는 이유다.
/이병재기자·kanadasa@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