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노령화 시대에 부족한 영농 일손을 해결해 주는 농기계 임대사업이 제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농기계의 효율적인 이용과 농촌 노동력의 고령화에 대비해 농기계 임대사업 성과와 개선 방안을 찾기 위해 최근 60개 경영체를 대상으로 방문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농촌 인구는 해마다 줄고 있었으며, 농산물 생산비 중 농기계 사용에 드는 비용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농업에 종사하는 60세 이상의 경영주 비율은 72.2%로, 도시근로자 가구의 12.3%보다 크게 높았다.
또 2013년 쌀 생산비 중 농기계 비용은 42%(통계청, 2013 농산물생산비 조사)를 차지했다.
이처럼 고령이거나 여성 농업인들이 쌀 농사를 위해서는 고가의 대형 농기계를 이용해야 하는데, 너무 비싸 구입하기도 어렵고, 기계가 복잡해 운행 자체가 힘든 경우도 많았다.
이에 농식품부와 전북도, 각 시군 농업기술센터, 농협 등은 전북지역에 총 5,170여대의 각종 농기계를 보유·임대·운영하고 있었다.
시군별로는 정읍시 751대, 완주군 509대, 김제시 501대, 군산시 491대, 임실군 465대, 진안군 405대, 익산시 376대, 순창군 333대, 장수군 280대, 무주군 225대, 부안군 201대, 고창군 186대 등이었다.
또 공급에 비해 수요가 항상 넘치는 등 농기계 활용율은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다.
올해 임대 기계의 평균 작업 면적은 194ha로 2010년보다 159% 늘었다. 기종별 작업 면적은 트랙터가 261ha, 콤바인 126ha 순으로 많았다.
농기계 1대당 작업일은 평균 35일로 2010년보다 53% 늘었다. 기종별로는 콤바인이 96%, 트랙터 60% 순으로 작업일이 늘어 임대 농기계의 이용률도 증가했다.
특히, 임대농기계를 노동 강도가 큰 밭작물 수확과 논벼 수확에 가장 많이 이용했으며, 밭작물 선별과 잘고르기(정선) 작업에도 많이 활용됐다.
또한 경영체당 평균 이용 농가 수는 2010년 1,656농가에서 2013년에는 2,480농가로 50% 정도 늘어 임대사업이 좋은 반응을 얻고 있음을 보여줬다.
그러나 농기계 임대사업의 발전을 위한 조사에서는 농기계 관리인원 부족과 농기계 고장 수리·예산 부족, 제도와 정책적인 지원에 대한 개선 요구가 있었다.
완주군 벼 농업인 A모씨(60)는 "수확철이면 농작업 대행서비스 수요가 크게 몰리는데 농기계 부족 뿐만 아니라 기계를 다룰 수 있는 인력도 크게 모자라 제 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농가가 드물다"면서 임대사업소 인력난이 작업난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지적했다.
완주군 B모씨(57)도 "임대농기계이다 보니 고장이 잦은데, 수리 및 운행 교육을 맡을 기술진이 부족한 것 같다"며 "파종기 및 수확철에 몰리는 임대 수요를 해소하기 위해 관련인력을 시기적으로 집중하는 탄력적 운영이 필요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각 시군은 농기계팀 전문가 출장, 영농철 담당자 외 작업인원 추가 확보, 영농철 농기계 임대사업소 휴일근무 실시 등으로 수요 초과 현상을 해소하려 노력하고 있었다.
한편, 농진청 정병우 농산업경영과장은 "농작업 대행과 농기계 임대사업은 서비스 이용료도 저렴해 농가 경영비 절감에 큰 몫을 하고 있다"며 "농촌 노동력의 고령화에 맞춘 농기계 작업 대행 경영체의 성과와 개선 방안을 찾아 확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황성조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