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북지역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사상처음으로 17%대를 기록하며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가운데 청년층은 줄어 이에 따른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고령인구 비율이 높아지면 지역의 생산성이 떨어지고 사회적 비용도 늘게 돼 전북지역 경제기반과 성장잠재력이 갈수록 취약해질 것으로 우려된다.

6일 전북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말 기준 전북지역의 주민등록상 인구는 187만1560명(남자93만1536명·여자94만24명)으로 2013년 187만2965명에 비해 1405명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08년 6505명이 감소한 이후 감소폭이 가장 컸다.

도내 인구는 지난 2010년과 2011년 약 2만여명이 늘었으나 2012년부터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혁신도시 조성과 기업유치에 따른 인구유입 효과를 감안할 때, 전입인구 보다 전출인구가 더 많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북인구는 1962년 주민등록상 인구집계가 이뤄진 이래 1966년 252만3708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하락세를 계속 보이다가 지난 2002년 처음으로 상징적 인구인 200만마저 붕괴됐다.

특히 지난해 65세 이상의 노인인구 비율이 32만2626명으로 집계되면서 사상 처음으로 17.2%를 기록했다.

전북은 지난 1993년 7.5%로 고령사회에 진입한 이후 노인인구 비율이 빠르게 늘면서 2007년(14.3%) 고령사회에 진입한 상태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0년에 고령화사회가 됐지만 현 추세라면 전북은 2018년 19.9%(초고령사회 진입), 2020년 21.2%, 2025년 25.4%, 2030년 29.9%로 고령화 속도가 전국 평균보다 매우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노인인구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청년층(15~29세) 인구는 34만4787명으로 18%대 붕괴 직전에 놓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의 청년인구는 10년 전인 지난 2005년 40만명이 붕괴(39만7461명)된 이후 매년 8만여명 이상이 고향을 떠나고 있어 3~4년 후면 20만명대로 추락할 상황에 놓였다.

따라서 도내 노인인구 비율은 높아지고 청년층이 줄어들면서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이어질 수밖에 없어 전북경제의 성장잠재력 악화로 직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도 관계자는 “전북지역의 고령화 진행이 빠른 이유는 출산율 저하와 청년층의 유출이 지속된 탓이 크다”며 “출산은 적고 노인인구 비율이 늘어간다면 가계와 자치단체의 복지부담이 증가될 수 밖에 없어 우선 출산율을 높일 수 있는 파격적인 지원대책이 강구돼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