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군산에 이어 익산에서도 조류인플루엔자(AI) 의심신고가 접수돼 방역체계 정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AI 바이러스의 국내 토착화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AI 특별방역대책 기간이 오는 5월까지임을 감안하면, 방역체계가 허술하다는 지적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26일 전북도에 따르면 익산시 신흥동의 한 오리사육 농장에서 출하 전 간이검사 과정에서 H5 AI항원이 검출돼 농림축산검역본부에 정밀검사를 의뢰했다고 밝혔다.

방역당국은 해당 농장 입구에 이동통제소를 설치하고 사육 중인 오리 9600여마리를 모두 살처분하기로 했다.

앞서 지난 23일 군산시 서수면의 오리농장에서도 AI 양성반응이 나와 방역당국이 7000마리를 살처분하는 등 올해 들어서만 모두 8건의 AI가 발생했다.

지난달 17일 정읍의 한 육용오리농장을 시작으로 부안, 군산 등지에서 현재까지 11만9431마리의 오리가 살처분됐다.

이처럼 AI가 연이어 또 다시 발생, 방역체계에 구멍이 뚫리면서 사실상 1년 넘게 AI를 방재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특히 지난해에는 예년과 달리 바이러스 활동이 뜸한 여름철에도 AI가 발생했다는 점에서 올 여름까지도 AI 피해가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현실화 되고 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AI가 사시사철 발생하는 상황에서 해마다 반복되는 대책만으로는 확산을 막기 힘들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그동안 대책들이 대부분 수년 전부터 반복해오던 대책들이고, 최근 AI 발생 이후 내놓았던 대책들을 짜깁기한 수준에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AI의 경우 기존에 우리나라나 다른 나라에서 발생한 적이 없는 새로운 형태의 바이러스가 발생하는 등의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하는데 반복적인 대책만 쏟아낸다는 것이다.

도내 관련학계 한 전문가는 “방역대책기간 중 AI가 연이어 발생했다는 것은 방역과정에 심각한 허점을 드러냈다고 밖에 볼 수 없다”라며 “AI 발생의 주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는 철새 유입을 막을 근본적 해법이 없는 데다 국내 가금류에 남아 있던 AI 바이러스가 토착화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어 지자체 방역조직 강화, 가축질병공제제도 도입 등 방역체계 정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