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내에서 자유학기제를 운영하고 있는 중학교들은 자유학기제에 따른 교육활동 변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농촌학교와 도시학교, 소규모학교와 대규모학교 간 차이가 있어 전북형 자유학기제 성공적 안착을 위해서는 지역 여건 및 학교 규모에 맞는 운형 모델이 개발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같은 내용은 전북교육정책연구소(소장 반징수)가 최근 발표한 ‘전라북도 자유학기제 현황 분석 및 운영방안 연구’ 보고서에 담겨 있다.

이 연구는 2016년 자유학기제 전면 시행을 앞두고 도내 자유학기제의 전반적 운영 실태를 조사해 현재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 및 과제를 확인하고 향후 자유학기제의 시행을 위한 기본 운영 방안 및 정책 과제를 제시하기 위해 진행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에 자유학기제를 운영한 31개 학교 학생과 교사, 학부모에게 설문조사 한 결과 수업방식의 변화·개선과 관련해 학생 참여형 수업, 수행평가 방식의 진행, 수업의 흥미 유발, 수업 만족도에 대해서는 긍정적 인식(평균 3.20)을 보였다. 그러나 소규모 학교(3.54~3.33), 농어촌지역 학교(3.49~3.25)와 대규모학교(2.99~3.11), 도시지역 학교(3.18~3.06) 간 차이가 있음이 확인됐다.

특히 교육과정 운영 영역과 수업방법 및 평가영역은 도시지역 학교에서, 전반적 학교운영 영역은 농어촌 지역에서 부정적이었다.

이에 성공적인 자유학기제 운영을 위해서는 학교의 여건과 특성에 맞게 학교가 자율적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지역별 특성 또는 학교 규모, 지역사회의 교육환경 여건, 학교 구성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운영 방안이 개발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예를 들면 도시지역 대규모학교는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과 인프라가 잘 구축돼 있고, 학교 밖 체험시설 접근이 쉽지만 학급당 학생수가 많아 실질적인 학교 밖 진로체험을 운영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럴 경우 지역사회의 자원과 환경을 충분히 이용해 교과와 연계된 다양한 체험활동 및 선택 프로그램 운영을 제안한다.

반면 지역사회 인프라가 부족한 농어촌 소규모 학교는 지역의 자연환경과 생태자원을 활용한 체험활동 및 특기적성 교육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을 설계·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북교육정책연구소 관계자는 “자유학기제가 단순한 특색 사업이 아닌 정규교육활동이라는 점에서 학교 현장에서 충실한 교육활동 및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혜기자·kjhwjw@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