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공중보건의가 해마다 줄고 있어 농어촌 지역의 의료 공백 사태가 현실화되고 있다.
공중보건의에 의존하고 있는 농어촌 의료정책을 획기적으로 개선해 의료의 질을 높이고 의료 공백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2일 전북도 및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에 따르면 전북지역 공중보건의사 숫자가 최근 8년간 28.0%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520명이던 도내 공중보건의는 2010년 505명, 2011년 448명, 2012년 402명, 2013년 390명, 2014년 389명, 2015년 382명, 올해는 374명으로 계속 감소 추세다.
신규 공중보건의 역시 2009년 172명에서 2010년 130명, 2012년 127명, 2015년 124명, 올해 116명으로 8년 전에 비해 56명(32.5%)이나 줄었다.
이처럼 공중보건의 공급이 줄면서 시·군의 의료 서비스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공중보건의가 맡고 있는 농어촌지역 진료는 전문성이 떨어지고 야간에는 의료진이 없는 경우가 많아 주민들의 불만이 높다.
이에 전북도는 공중보건의를 전진 배치하고 일부 이동진료를 하고 있지만 주민들의 의료 수요를 충족시키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공중보건의 역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공중보건의가 매년 감소하고 있지만 지자체들이 공중보건의들의 업무를 줄이지 않고 있어 시·군에 배치되고 있는 공중보건의들의 업무 강도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시·군에 배치되는 공중보건의 수가 줄어들 경우 이들을 대신할 관리의사를 채용해야 하지만 지자체가 예산 부족 등의 이유로 채용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최근 2년간 전국 153개 시·군 보건소 및 보건지소 중 74개에서 공중보건의 업무량이 평균 26.4% 증가했지만 전북은 14개 시·군 중 10개 시·군에서 업무량이 71%나 증가해 전국 최고를 기록했다.
반면 도내 관리의사는 전주(5명), 김제(2명)에 있는 단 7명뿐으로, 공중보건의 감소에 따른 업무범위 재조정은 물론 공보의 업무를 분담할 신규 관리의사 채용이 시급한 상황이다.
도내 의료계 한 관계자는 “농촌지역에는 수익성 등이 낮아 민간의료원 개원을 꺼려하고 공중보건의 마저 갈수록 줄어 의료사각지대가 될 우려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며 “공중보건의에 대한 인센티브를 확대하고 농촌지역에 병원을 개원하는 민간 의료진에게 국가 공공복지 차원에서 재정적인 지원을 늘리는 등의 유인책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