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지자체들이 시민들의 문화향수 기회 확대와 다양한 문화 활동을 위해 문화시설을 건립해 운영하고 있지만 질적 향상을 위한 운영내실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공공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문화시설의 경우 수입이 운영비 대비 30%를 넘으면 자립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지만 운영비 대비 수입비율이 30%를 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8일 익산참여연대가 전주·익산·군산·정읍·김제·남원시 등 도내 6개 지역 예술의전당 및 문화예술회관의 최근 4년간(2012~2015년) 운영 현황 정보공개를 통해 분석한 결과, 이들 문화시설 모두 운영비 대비 수입비율이 30%도 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도 출연기관인 한국소리문화의전당은 운영비(평균 55억원) 대비 수입(평균 15억원)비율은 27%로 6개 지역 중 가장 높았다. 이 곳은 도내 지자체 중 유일하게 민간위탁 방식을 도입하고 있어 안정적인 운영 정착이 가능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수입비율이 높은 반면 운영비와 수입의 차액도 평균 40억원으로 많았다.
군산 예술의전당은 운영비(평균 15억원) 대비 수입(평균 1억4000만원) 비율은 9%로 나타났다.
지난해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 익산 예술의전당도 운영비(57억9400만원) 대비 수입(1억200만원)비율이 1.7%로 매우 낮았다. BTL(임대형민자사업)방식으로 사업이 추진되다 보니 민간 사업자에게 임대료와 운영비로 매년 39억원을 상환하고 있어 수입 비율이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
김제문화예술회관은 운영비(평균 7억원) 대비 수입(평균 1200만원) 비율이 평균 1.7%로 낮았다. 정읍사 예술회관은 운영비(평균 3억5000만원) 대비 수입(4000만원) 비율이 평균 11%, 남원 춘향문화예술회관은 운영비(3억원) 대비 수입(3000만원) 비율은 10.2%로 나타났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이들 시설들이 시민 문화활동 기여, 지역문화 거점으로서의 역할 등 공공성에 기여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대관형 중심의 운영으로 변질돼 가고 있다는 것이다.
소리문화전당의 경우 객석규모와 특성에 맞게 다양한 문화공연이 이뤄지고 있는 반면, 군산예술의전당과 익산예술의전당 등은 시민들의 직접적 참여와 활동을 이끌어 내는 문화예술교육이나 활동은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김제·춘향·정읍사예술회관도 시민들을 위한 공연문화 중심보단 발표회, 행사, 교육 등의 비중이 높았다. 정읍사예술회관의 경우 지난해 126차례의 대관(어린이집 학예발표회, 우수종사자 교육, 출판기념회 등)이 이뤄졌고, 남원춘향문화예술회관에서는 99차례의 타 단체 행사들이 진행됐다.
익산참여연대 관계자는 “문화시설 건립 목적을 시민들의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 기회 제공, 지역 문화예술 역량 성장에 둬야 하지만 시설 확충 중심으로 추진되다 보니 상대적으로 운영 계획과 프로그램이 부재했던 것이 사실”이라며 “시민들에게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 제공, 지역 문화예술 역량의 성장이라는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운영 내실화와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돼야 한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