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괴되는 전북농업, 지지대도 없다.
전북농촌인구의 급격한 감소에 이은 고령화 가속화로 농업기반자체가 흔들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남지방통계청이 내놓은 ‘지난 20년간 농업생산의 변화상’ 자료에 따르면 전북 농가는 지난해 말 기준 10만362가구로 1995년 15만2257가구였던 것과 비교, 20년 만에 34.1%인 5만1895가구가 줄었다. 특히 농업인구는 같은 기간 동안 50%가 넘는 25만8745명이나 감소, 지난해 말 농업인구는 22만7431명에 불과했지만 65세 고령 농업인구는 오히려 9만2664명으로 1995년보다 1만2345명이 늘었다.
‘농도전북’이란 수식어가 붙으며 풍요롭고 넉넉한 고장의 대표지역이란 자부심이 있었던 적도 있었다. 하지만 산업화에 밀리고 도시화에 소외되며 이젠 힘들고 가난한, 그래서 미래에 대한 희망조차 논하기 힘든 상황에 까지 몰린 농업이다. 그리고 그 중심에서 벗어나는 전북이란 점에서 한편으로 가능성 있는 신산업이 지역경제의 주축으로 자리 잡으면서 나타나는 자연스런 현상이지 아닐까 하는 긍정적인 해석도 해봄직 하지만 지금 전북은 농업은 내리막, 산업화는 정체, 미래희망은 불투명으로 요약될 만큼 힘든 상황이다. 오히려 농촌 육성과 부활을 위한 노력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한축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올 정도다. 전북도가 작지만 강한 농업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강소농’ 육성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1인 고령자가 많은 전북농가 특성상 효율적인 세대교체가 시급하고 규모화 영농,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대체농 육성 등의 보다 적극적이고 다양한 농촌 활성화 대책이 나오지 않는다면 전북농촌의 미래는 없다. 전국적인 현상이라곤 하지만 오랜 기간 농업을 기반으로 생산 활동을 하며 성장한 지역이란 점에서 어두운 농촌의 미래는 결국 전북에 가장 큰 부담을 줄 수밖에 없단 점에서다.
귀농귀촌을 통해 농가의 빈자리를 메우겠다는 당초 계획은 성공적인 결과를 얻어내지 못하고 있다. 백약이 무효이듯 ‘돌아오는 농촌’을 위해 모든 정책적 수단과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약속이 수도 없었지만 반향조차 없다. 자유무역주의 확산에 따른 개방 압력에 국내 농산업 위기 역시 가속화 되고 있음은 물론이다.
농촌에서 아이울음소리가 들린 지 언제인지 모를 정도로 지금 우리 농촌은 너무 조용하고 어둡다. 큰 변화를 위한 심각한 몸부림이 필요한 시점이다. 농촌붕괴를 막기 위한 최소한의 지지대는 세워줘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