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의 농촌 실상이 너무도 초라해지고 있다. 젊은 인구의 농촌 이탈이 계속되면서 농촌 인구가 크게 줄어든 것은 물론 고령화에 핵가족화까지 진행되고 있어 농도 전북의 추락이 어디까지 갈는지 예측조차 어렵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전북의 농촌 인구가 23만여 명으로 1990년에 비해 무려 60% 넘게 줄어들었다. 농가 호수도 10만여 호로 같은 기간 50% 가까운 감소를 보였다.
  농가의 가구원 수 역시 1990년대는 5인 가구가 주축을 이뤘으나 2015년에는 2인 가구가 50%를 넘었고 1인 가구도 20%에 이른다. 3인 가구는 13%에 그쳤다. 가구 당 평균 가구원 수가 2.3명에 불과하다. 핵가족에 다름 아니다.
  이 같은 농촌인구의 실상은 비단 전북에 한하지 않으며 전국의 농촌 실상이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러나 전북 농촌의 경우, 농사에만 의존하는 전업농가 비중이 60%에 이르고 겸업농가 비중은 40%에 그치고 있다. 농업 외 가구소득이 빈약해 농촌경제가 취약한 게 다르다.
  경지면적마저 줄어들고 있다. 전국적인 현상이긴 하나 농도 전북의 농경지 면적의 감소는 농업기반의 위축과 농산업의 쇠퇴여서 더 심각하다. 2014년 20만4,612ha, 20015년 20만3,559ha, 2016년 20만720ha로 2년 사이 3,892ha가 줄었다.
  경지면적 감소는 논이 주도했다. 2년 사이 13만7,883ha서 13만2,854ha로 5,029ha가 급감했다. 쌀 시장을 개방하면서 쌀값이 급락하는 데 따라 쌀농사를 기피하고 밭작물로 대체하는 데 따른 현상으로 보인다.
  시도별 경지면적 규모에서 전북은 전남 29만8천ha 경북 26만8천ha 충남 21만5천ha로 4위로 밀려났다. 전북을 농도라 말하기가 민망하다.
  우리나라 쌀 산업은 급속히 사양화되고 있다. 쌀 시장 개방으로 수입쌀이 밀려드는 가운데 국민 식생활 변화로 인한 쌀 소비 감퇴로 재고 쌀이 남아돌면서 쌀값이 폭락하고 있다. 모든 물가가 천정부지로 뛰고 있는데도 쌀값만 26년 전으로 뒷걸음질을 치는데도 막을 방법이 없다. 
  그런데도 전북의 농촌은 여전히 쌀농사 의존도가 높다. 전북도의 농정방향을 획기적으로 바꿔 나가지 않으면 전북 농촌에 미래가 없다고 하지 않을 수 없을 것 같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