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이 지역 산업 육성정책을 적극 추진해 가시적인 성과를 도출했지만, 경제성장률(GRDP)이 대체로 전국 수준을 하회하는 등 성장 견인 역할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중장기적인 관점으로 타 지역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할 가능성이 있는 산업을 중심으로 육성 대상을 집중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26일 한국은행 전북본부에서 발표한 ‘전북지역 산업구조변화 추이 및 향후 육성전략 수립 방향’에 따르면 전북은 2003년 이후 기계, 자동차 등 대기업이 입지한 육성대상 산업을 중심으로 지역 경제 내 제조업 비중이 상승했다.

도내 지역내총생산(GRDP) 중 제조업 비중은 2002년(23.9%)에서 2015년 27.2%로 상승한 반면, 서비스업(55.1%→53.8%) 및 농림어업(11.9%→8.6%) 등의 비중은 하락했다.

제조업 내에서는 기계장비 등 주력산업 및 주력산업의 후방산업 역할을 수행하는 화학, 1차 금속 등에서 부가가치, 종사자 수 등이 제조업 평균을 상회하는 증가세를 보이며 비중이 지속적으로 상승했다.

2002~2014년 중 제조업 부가가치는 연평균 7.2% 늘었으나, 기계는 18.9%, 1차 금속12.5%, 화학은 9.5%, 자동차는 8.3% 증가해 평균을 상회했다.

하지만, 2012년 이후에 전국의 제조업 생산지수는 완만한 상승세를 보인 것과 대조적으로 도내는 2011년(107.7) 최고치를 기록한 이래 지난해 96.5%로 하락했다.

자동차, 화학, 조선 등 주요 주력산업의 지역경쟁 효과가 떨어지는 가운데 1차 금속, 기계장비는 꾸준히 유지되는 모습이다.

이는 2010년을 전후로 기업유치에 따른 공장설립 초기 기저효과가 소멸되고 일부 주력산업인 생산 품목은 글로벌 경쟁 심화로 업황까지 크게 악화된 데 주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전북은 육성대상 산업도 정책시행 초기 4개 이내에서 지속적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전북이 강점을 지녔거나 타 지역과는 차별화된 산업을 중심으로 육성대상을 집중해야 한다는 것.

현재 지역경제를 주도하는 산업을 대상으로 미래 성장가능성의 관점에서 종합적인 경쟁력을 평가해 육성정책을 수정․보완해야 한다는 방안이다.

한은 전북본부 관계자는 “도내 주력 산업들의 경쟁력을 새롭게 분석해 향후 집중 육성할 분야를 재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박세린기자․iceblue@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