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농생명용지 조성이 막바지에 접어들었지만 전력시설 공급 방식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전북도와 농림부에서는 전력시설 지중화를 요구하고 있지만 기재부는 예산 부담을 이유로 수년째 부정적 입장을 취하고 있기 때문이다.
15일 전북도에 따르면 당초 새만금 농생명용지 전력공급 방식은 송전선로 방식으로 총 사업비 107억원(방수제 57억원·농업용지 50억원)이 책정됐다.
그러나 새만금지역은 해무, 강풍, 염기 등 바다 환경에 노출돼 있어 지중화 방식이 자연재해로부터 안전을 확보하는 데 적합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또 새만금 농업용지는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첨단농업 육성을 위해 추진되는 사업으로 국제적 위상과 수준에 부합하는 기반시설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특히 전력시설 공중화 설치시에는 무인헬기를 이용한 직파 영농, 항공방제 등 첨단농업 실현이 어려운 것은 불 보듯 뻔하다.
이에 전북도는 지난 2014년 3월부터 전력공급 방식을 지중화로 변경해야 한다고 건의했고,  이같은 주장이 설득력을 얻으면서 지난 2014년 9열 열린 총리 주재 새만금위원회에서 심의·의결된 새만금기본계획에도 ‘전력 공급망의 지중화’를 명시했다. 전력공급망의 지중화를 통한 쾌적한 새만금 조성에 공감대가 형성된 것이다.
또 2016년 한국전력은 지중화를 위한 설계비 산출 용역을 통해 총 사업비가 888억원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내놨다.
지중화로 변경할 경우 총 사업비의 절반은 한전이 분담하기로 하면서 나머지 절반인 444억을 국비로 요청했지만 기재부는 당초 책정한 사업비(107억원)보다 337억이 증액되는 것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농업용지에 대한 지중화 사례가 없고, 공중화 방식을 취하면 100% 한전 사업으로 국비가 들지 않는 데 굳이 지중화해야 할 필요가 있느냐는 논리다.
다만 기재부는 최근 지중화를 위한 타당성 용역에 착수한 것으로 파악됐다. 용역결과가 나오기까지는 6개월 가량 소요될 것으로 보여 결국 내년도 국가예산 반영은 어려운 셈이다.
전북도 관계자는 “총사업비 협의에 부정적이던 기재부가 지중화를 염두한 타당성 용역에 들어간 것은 한발 진척된 것으로 볼 수 있다”면서 “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하고, 장기적 측면에서 유지관리비 절감을 위해서도 전력시설 지중화는 필수적이다”고 말했다.
/김지혜기자·kjhwjw@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