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농생명용지 송전시설의 지중화 추진이 기획재정부의 예산 편성 과정서 진통을 겪는 것으로 전한다. 재래의 송전철탑 방식에 비해 지중화 송전 사업비가 월등해 예산 확보가 힘들기 때문이다.
  농생명용지 송전시설은 4차산업화를 지향하며 세계적인 첨단농업지대 조성을 목표로 하는 농생명용지에 동력을 공급하는 최종 기반시설 사업이다. 그에 걸 맞는 전력시설의 건설이 요구된다 하겠다.
  첨단 농생명단지에 재래식 송전철탑은 시대에 맞지도 않을 뿐 아니라 그에서 빚어지는 부정적 역기능들이 사업비 절감이 주는 기대이익을 상쇄하고도 남는다고 보이기 때문이다.
  총 180.7km에 이르는 송전시설에 철탑 방식 사업비가 당초 107억 원으로 산정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부로서는 비교적 가볍게 예산에 편성할 수도 있다고 하겠다. 그에 비해 지중화는 한국전력이 총 888억 원이 소요된다고 산정했다. 정부가 멈칫거리는 게 이해될 수밖에 없을 것 같다.
  그러나 송전철탑 방식은 고압전류를 지상의 고공에서 흐르게 하는 방식이어서 지하 매설의 지중화 방식에 비해 전자파 등 월등히 많은 부정적 기능을 갖고 있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사업비 절감이 유일한 강점일 따름이다.
  송전철탑이 전국 도처서 엄청난 저항에 부딪쳐 온 것도 그 때문이다. 그로해서 빚어진 사회적 갈등비용이 천문학적이라 하겠다. 군산~새만금 사이 송전철탑 건설도 8년여 간 엄청난 사회적 비용을 치렀다. 농생명 지대라 해서 인구 밀집과 무관한 것도 아니다. 일대에 대소규모 농촌도시가 건설된다.  
  더구나 송전철탑 방식은 해안가 간척지 연약지반의 강풍 낙뢰 염분 등에 취약하다. 첨단농업의 필수라 할 헬기 드론 등의 운용에도 장애가 될 수밖에 없을 것임은 물론이다.  
  다행이 한국전력이 지중화의 경우, 사업비의 50% 444억 원을 부담한다고 한 것으로 전해진다. 한전이 이 사업의 미래를 내다본 게 아닐까 한다. 그렇다고 할 때, 기왕의 107억 원에 337억 원의 추가 부담이면 지중화가 가능해진다.
  새만금 농생명용지 전력시설은 지중화로 가게 해야 한다. 용역 빌미로 내년 예산 편성을 미뤄서도 안 된다. 새만금 속도전이 발등의 불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