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다시 AI(조류인플루엔자)비상이다. 경북 영천시 인근 자호천변에서 채취한 야생조류분변 시료에서 AI 바이러스가 검출되면서 전북도를 비롯한 전국 지자체들이 예찰을 강화하는 등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특히 전북은 지난해 발생한 AI때문에 심각한 피해를 입었던 지역으로 지난 2014년 이후 매년 고병원성 AI 발병이 끊이지 않는 곳이다. 전북도는 일단 재발 방지를 위해 10월부터 내년 5월까지 8개월간을 특별방역대책 기간으로 정하고 '심각 단계' 수준의 방역을 추진키로 했다. 도청과 각 시·군, 농협 등 도내 24곳에 가축방역상황실을 설치하고 군산, 김제, 부안, 익산, 정읍, 고창 등 밀집사육지역인 6개 시군에서선 거점 소독세척도 병행할 방침이다.
하지만 우려는 여전하다. 아무리 철저한 방역을 한다 해도 날아다니는 철새에 의해 발병하고 이동에 의한 전염의 속도가 너무 빠르다 보니 자칫 작은 허점만으로도 걷잡을 수 없는 피해 확산이 불가피해지기 때문이다. 더구나 이번엔 민족 대이동이 시작되는 추석을 앞둔 시점으로 귀성객들의 축산농가 방문, 해외여행자들에 의한 현지 전염균 유입 등의 가능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 걱정을 더해주고 있다.  
최고의 긴장아래 철저하고 세심한 예찰 강화를 통해 예방에 온 힘을 다해야 한다. 지난해 AI피해를 키운 가장 큰 요인 중 하나가 정부와 지자체의 늦장대응에 컨트롤타워 부재, 지자체 현장에서의 방만한 대처 등이 복합적으로 얽히며 기능을 상실했기 때문이란 지적이 되풀이 돼선 안 된다. 축산농가 들의 도덕적 해이도 이젠 사라져야 한다. AI가 발생했는데도 닭과 계란을 출하하거나 허술한 농장관리의 문제지적에 무대책으로 일관하는 등의 행태는 AI 재앙을 내손으로 부추길 뿐 이란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2004년 이후 AI발병이 계속되면서 중국이나 베트남처럼 AI 바이러스 발병의 고착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까지 나온다. 우리 양계산업에 직격타를 주는 것은 물론 장기적으로 심각한 경쟁력 약화를 필연적으로 가져온단 점에서 절대 가볍게 볼 사안이 아닌 이유다.
지금 대응체계만으로 충분한 효과를 거둘 수 있는지 다시 한 번 점검하고 만일의 발병에 대비한 초동대처 매뉴얼에 부족함은 없는지 분명히 들여다 볼일이다. 정부와 지자체, 관련축산농가가 한마음으로 대비한다 해도 부족한 게 AI방역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