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관내 상수도 시설물에 대한 내진 설계 반영률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수도 관로는 전 관로가 내진 설계 반영이 안 된 것으로 파악돼 보수 보강 및 대책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23일 전주시에 따르면 관내에는 배수지 10곳, 정수장 1곳, 취수장 1곳 등 총 12개 상수도 시설물이 내진 설계 대상이다.
이 중 내진 설계가 적용된 시설물은 지곡, 천마, 금암, 서신, 팔복 등 배수지 5곳(41.7%)에 그친다.
나머지 대성, 인후, 효자, 송천, 중화산배수지와 팔복정수장, 전미취수장 등 7곳은 내진 설계가 반영되지 않았다.
더 큰 문제는 상수도 관로의 경우, 지진화산 재해 대책법 ‘상수도 시설 기준’상 내진 설계 적용 대상이나, 전주시 상수도 관로 총 연장 2433km에는 내진 설계가 미반영돼 지진에 무방비 노출된 실정이다.
내진설계가 반영되지 않은 상수도 시설의 경우, 지진 등 자연재해로 인해 파괴 위험성이 높고, 이에 따른 식수오염은 물론, 식수 공급중단 등에 따른 사회적 혼란이 야기될 수 있다.  
실제, 최근 우리나라는 지진 발생 빈도 및 강도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지진 관측이래 가장 큰 리히터 규모는 5.8로 지난해 9월 경주에서 발생했으며, 전북 일부지역에서는 당시 지진의 진동을 느낄 수 있었다.
최근에도 이달에 경주에서 2.5 규모의 지진이 발생하는 등 지난해부터 현재까지 638차례 규모 1.5에서 3.0정도의 여진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경주지역에서는 50여 명이 부상을, 시설물과 문화재 포함 약 100억 원이 넘는 재산 피해를 입었다.
이처럼 내진 설계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각 지자체들의 상수도 관련 시설물에 대한 대책 마련이 무엇보다 절실하다. 
지진 발생 후 상수도 관로가 파손될 경우, 식수 공급 등 상수도 사용에 대한 원천적인 제약을 받아 자칫 시민불안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각 시설물에 대해 2~3년 마다 정밀점검과 5~6년 주기로 정밀안전진단을 하고 있다”며 “더불어 기술진단 및 성능 평가 등을 실시한 후 보수 보강 대책을 추진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내년에는 지진에 대비한 비상급수시설 관리 및 비상급수체계, 내진 보강 로드맵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김선흥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