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에 대해 안전하다고 여겨 온 우리나라에도 2000년 들어서부터 지진의 빈도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고 한다. 2002년 49회에서 지난해에는 252회 지진이 발생했고, 특히 리이터 규모 3.0 이상은 같은 기간 11건에서 34건으로 증가했다는 자료가 있다. 지진은 바로 국가의 재난이고 국민의 생명에 엄청난 위협을 주게 된다. 그 중에서 식수 등으로 사용되는 상수도시스템은 지진과 동시에 마비된다. 이러한 가운데 전주시 관내 상수도 시설물에 대한 내진 설계 반영률이 미흡해 시민불안이 염려된다.

특히, 상수도 전 관로에는 내진 설계가 미반영돼 우려가 커 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전주시에 따르면 전주시 관내에 배수지 10곳, 정수장 1곳, 취수장 1곳 등 총 12개 상수도 시설물이 내진 설계 대상이지만 이 중 내진 설계가 적용된 시설물은  배수지 5곳에 그친다. 나머지 7개 시설물에는 내진 설계가 반영되지 않았다. 다만 2005년 내진 설계 의무화 시행 이후의 시설물은 내진설계가 적용됐다고 하니 그나마 다행이다. 상수도 관로는 심각하다. 지진화산 재해 대책법 ‘상수도 시설 기준’상 내진 설계 적용 대상이지만 구체적인 기준이 없는 상태다. 이에 따라 전주시 상수도 관로 총 연장 2433km에는 내진 설계가 반영되지 않았다. 지진에 대한 대책이 없다는 것이다. 말 그대로 지진에 무방비 노출 된 것이다. 여기에는 환경부도 기준 제정 추진에 적극 나서야 한다. 내진설계가 반영되지 않은 상수도 시설물이 지진 등으로 인한 자연재해가 발생할 경우, 식수 오염은 기본이요. 영화에서나 볼수 있는 식수 공급중단 등에 따른 사회적 혼란을 막을 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내진 설계의 중요성에 대해 아무리 심하게 강조해도 지나쳐 보이지 않을 대목이다.

전주시는 환경부만 믿고 있어선 안된다. 전주시가 내진 설계가 반영되지 않은 상수도 시설물에 대해 정밀점검과 정밀안전진단을 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시민 불안을 해소하기엔 부족해 보인다. 전주시는 내진 설계가 미반영된 상수도 시설물에 대한 대응 및 대책방안을 시급히 내놔야 한다. 더불어 지진에 대비한 비상급수시설 관리 체계도 서둘러 마련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