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구직자 4명중 한명이 공무원을 최고의 직업으로 꼽고 있다고 한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사회조사결과에 따르면 13세에서 29세까지 청년 25.4%가 가장 근무하고 싶은 직장으로 국가기관을 선택했다. 공무원은 해당 통계조사가 실시된 이후 언제나 1위였다. 그다음 역시 준공무원이라 할 수 있는 공사·공단 등의 공기업 직원 19.9%로 사실상 2명중 1명의 청년은 ‘정년이 보장된 안정된 직장’에 취업 최선의 목표를 두고 있는 셈이다.
불확실성 시대를 살아가는 지금에 있어서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다. 불안한 미래에 모든 걸 걸고 모험을 해야 하는 직업을 선호할 청년이 얼마나 되겠는가. 큰 욕심 부리지 않고 최소한의 의식주만큼은 노후에 까지 보장받을 수 있는 직업에 호감을 느끼고 또 선호하는 것 역시 당연하다. 우리 부모들 역시 자식들만큼은 험한 세상에 흔들리지 않고 편안한 삶을 누렸으면 하는 바람에서 ‘나라가 보장해 주는 직장’에 대한 긍정적인 판단 역시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으면 물론이다.
하지만 공직에 대한 수요는 넘치는데 반해 정부나 지자체가 창출해 낼 수 있는 일자리 한계에 따른 심각한 미스매칭이 수많은 젊은 인재들을 공무원시험에 묶어두는데 따른 부작용 역시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공직과 대기업에 입사에 대한 강력한 미련과 믿음이 자칫 우수중소기업을 비롯해 비전 있는 미래 산업으로의 진출을 막는 결과로 이어진다면 이는 곧 국가 미래전망까지를 걱정스럽게 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한참 창의적이고 가능성을 가진 유능한 청년들이 보다 넓고 깊게 자신의 꿈을 펼칠 수 있는 큰 길을 외면하는 상황을 방치해선 안 된다. 젊은 두뇌의 열정과 의지와 노력을 사회에 접목시킬 수 있는 가교가 필요한 시점이다. 정부의지가 아무리 강하다 해도 심각한 청년 실업을 단숨에 해결할 수는 없기에 더욱 그렇다.
지난달 발표된 통계청의 ‘2017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취업자의 산업 및 직업별 특성’에서 전국 시 단위 고용률 하위 5개 도시에 전주시는 최하위였다. 일자리를 찾아 지역을 떠나는 비율이 전국 최상위권인 이유를 짐작케 하는 결과가 아닐 수 없다. 여기에 그나마 인재들은 공무원시험에만 매달려 있으니 국가 이전에 전북의 미래가 걱정이 아닐 수 없다.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 정부 대책 이전에 이들의 새로운 도전을 지원하기 위한 지자체 차원의 청년 대책이 정말 시급하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