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에서 새로 창업한 사업체 10곳 중 절반 이상은 3년 이내에 폐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창업기업의 숫자를 늘리는 동시에 생존율 제고와 고용증대 등 질적인 부분을 강화하는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5일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지역별 창업에 따른 고용변동과 고용격차’에 따르면 전북지역에서 2011년 1분기에 창업한 사업체의 3년 생존율이 47.8%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국평균(53.5%)에도 못 미치며, 강원(45.4%)과 전남(47.1%)에 전국에서 세 번째로 낮은 수치다. 같은 기간 창업한 사업체의 5년 생존율도 35.8%에 그쳐 도내 창업시장의 열악한 실태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3년간 도내에서 창업으로 인한 평균 고용증가분도 전국평균 1.3명보다 낮은 1.0명으로, 창업 사업체 대부분이 영세규모의 창업으로 고용 증대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낮은 생존율에 비해 도내 창업비율은 19.5%로 제주(23.2%), 강원(20.5%), 충남(20.0%), 광주(19.8%) 등과 함께 전국평균(18.7%)을 웃돌았다.
 실제 지난달 전북지방중소벤처기업청이 발표한 ‘2017년 3/4분기 신설법인 동향’에 따르면, 전북지역의 3/4분기 신설법인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4% 증가한 755개로 집계됐다. 내수경기 회복지연에도 불구하고 도내 신설법인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 11월부터 매월 200여개 이상의 신설법인이 생겨나는 등 도내 창업열풍은 여전히 식지 않고 있다. 이는 도내 고용시장 전반에서 갈 곳을 잃은 구직자들의 창업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전북중기청은 도내 신설법인수가 이처럼 증가한 것에 대해 소규모 창업의 증가가 주요원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도내의 경우 창업을 희망하는 소상공인의 비중이 크고, 정부의 창업지원 정책과 그 예산 규모가 해마다 지속적으로 늘면서 자연스럽게 창업이 활발해졌기 때문이라는게 전북중기청의 설명이다.
 이처럼 정부와 유관기관의 적극적인 노력이 도내 창업열풍을 이끌고 있다는 분석이지만, 도내 창업 사업체의 생존율이 현저히 낮아 창업사업체의 생존율과 고용 성장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전략수립이 하루 빨리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전북중기청 관계자는 “전북지역은 영세규모의 창업이 활발하고 창업사업체가 유지되면서 고용성과를 내고는 있으나, 성장성이 낮은 업종에서의 창업이 활발하기 때문에 고용업종이 큰 업종을 중심으로 창업지원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양승수기자·ssyang0117@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