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정책을 선언한 정부가 새만금 전체부지 10% 가량을 대규모 신재생에너지로 조성한다는 방침을 사실상 확정하면서 새만금 내부개발이 늦어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서울 상암동 에너지드림센터에서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을 발표하고 1단계(2018~2022년) 5GW, 2단계(2023~2030년) 23.8GW로 나눠 재생에너지를 확보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새만금은 2단계 추진과정에 포함돼 간척지를 활용, 태양광과 풍력단지를 대규모로 설치하고 수변지역을 활용해 수상태양광을 건립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를 두고 찬반논쟁이 치열해질 조짐이다. 도는 대규모 재생에너지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주민과의 상생방안과 관련 산업 육성 방안, 인력양성과 지역업체 참여 및 자재보급, 새만금 내부개발을 방해하지 않는 등의 전체조건을 내걸고 있다.

더욱이 정부 발표를 감안한다면 새만금 내에 최대 3GW 재생에너지가 설치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보통 GW규모의 태양광 설치를 위해서는 13.2㎢ 부지가 소요돼 3GW 규모는 39.6㎢ 부지가 제공돼야 한다. 즉, 간척토지(291㎢)와 호수와 늪(118㎢)으로 구성된 새만금에 3GW규모의 태양광을 설치하면 전체부지의 10% 가량을 점유하게 된다.

정부의 탈원전정책과 재생에너지 산업육성을 위해 필요성을 공감 받고 있지만 27년간 우여곡절 끝에 겨우 시작된 내부개발 사업이 대규모 신재생에너지단지로 채워질 수도 있다는 얘기다.

도 관계자는 “정부의 정책방향을 최대한 수용해야 하지만 새만금 내 대규모 재생에너지 건립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면서 “현재 새만금개발청에서 새만금 신재생에너지 가용자원 조사 연구용역 중으로 내주께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고 말했다./김대연기자·red@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