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 원전 신재생에너지 확대공급 정책에 대한 찬반논란이 거센 가운데 정부가 새만금에 대규모 신재생에너지단지를 건설하겠다고 발표했다. 2023년부터의 2단계 계획이어서 차기 정부 과제가 될 것이나 재생에너지 논란이 새만금으로 확산될 태세다.
  정부는 내년부터 2022년까지의 1단계 기간 중 원자력이나 석탄발전소 유휴부지 등 불용지에 5GW의 신재생에너지 공급시설을 건설한다. 이어 2단계서 2030년까지 새만금 등 대형 간척지에 23.8GW의 전력 생산이 가능한 대규모 단지를 조성해 해상 및 육상 태양광과 풍력 발전소를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1GW규모의 태양광 발전소는 통상 13.2㎢ 면적이 소요돼 3GW규모에는 39.6㎢의 수면 또는 육지가 요구된다. 육지 291㎢, 호수 118㎢로 409㎢인 새만금 전체 면적의 10%에 이른다. 결코 작은 면적이 아니다. 당초 토지이용계획 상의 20.3㎢에 비해서도 배나 넓게 확대했다.
  이 드넓은 면적의 해상이나 육지를 뒤덮어 햇빛을 반사하는 태양광 모듈이나 바람을 타고 도는 거대한 풍력발전기 날개가 일으키는 소음이 어떤 것일지는 상상조차 어렵다 할 것이다.
  정부의 탈 원전 신재생에너지 공급확대 정책이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신재생에너지가 친환경적이지 못하다는 데서 비롯되고 있다. 조망(眺望) 장애와 소음 피해는 물론 광대한 면적의 토지와 해수면을 차지하는데 따른 자연환경 파괴도 간과할 수 없다. 경제성도 원자력에 어림없다.
  새만금이 지금 광대무비의 황무지나 다름없다. 얼핏 대규모 신재생에너지단지 적지로 생각하기 쉬울 것 같다.그러나 2020년까지의 1단계 내부개발이 끝나고 2단계 본격 개발에 들어가면 유발 인구 76만 명의 동북아 물류 중심 경제도시로 변모하게 되어 있다. 새 정부가 공약한 속도전도 이의 촉진을 위한 것이다.
  그런데 정부가 지목한 신재생에너지단지가 새만금의 한 중심에 설정돼 있다. 단지 주변에 국제도시 연구도시 산업도시 농촌도시 상업도시 관광레저도시 기능이 계획되어 있다.
   대규모 신재생에너지단지가 꿈의 새만금 첨단도시 건설에 악재가 될 우려가 높다. 단순환 에너지정책 전환 차원의 문제가 아니다. 정부의 신중한 접근을 바란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