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각 지자체의 특단의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출산장려금과 같이 단편적이고 일회성이 짙은 지원은 인구증가로 연결되지 않는 만큼 인구감소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실질적인 대응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7일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전북도 인구는 185만4607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인구통계작성이 시작된 1964년 이후 최저 인구를 기록했던 2009년 185만4508명에 비해 겨우 99명 많은 숫자다. 최악의 상황은 벗어났지만 전년대비 무려 1만184명이나 급감하면서 인구 감소의 심각성을 보여주고 있다.
실제 전북의 인구는 지난 2011년 187만4031명으로 최근 10년새 최고치를 찍은 이후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다. 여기다 2012년 187만3341명, 2013년 187만2965명, 2014년 187만1560명, 2015년 186만9711명, 2016년 186만4791명, 2017년 185만4607명 등으로 해마다 감소폭이 늘어나는 것이 더 큰 문제다.
지난해의 경우 1~11월까지 도내에서 태어난 출생아 수는 1만637명으로 전년대비 1339명이나 감소했다. 여기다 군산조선소, 군산GM, 익산넥솔론, BYC전주공장 등 지역기업들의 위기가 잇따르면서 청년층의 탈전북이 가속화되고 있다.
그러나 행정의 대응력은 여전히 미흡하기만 하다. 도는 조직개편을 통해 기획관실 균형발전팀에서 인구정책을 통합·관리한다는 계획이지만 인구전담 조직이 아니라는 점에서 제대로 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낼 수 있을지 미지수다. 이 팀에서는 지방분권·균형발전 업무까지 동시에 맡고 있는 때문이다.
전남도, 경북도, 충남도 등 타 지자체에서 인구정책팀을 신설해 ‘저출산 대응 5개년 계획’을 수립하는 등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특히 2016년 전북연구원과 인구대응 릴레이 세미나를 통해 ▲인구정책관 신설 ▲저출산고령화 전담팀 구성 ▲첫째아 장려금 지급 ▲도·농 중핵도시 육성 등과 같은 과제들이 도출됐지만 1년이 지나도록 정책에 반영되지 않고 있다.
이에 전문가들은 “전북은 출산율이 저조한데다 취업난 등으로 청년층이 빠져나가는데 반해 농촌지역의 노인인구는 그대로 남아 있으면서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심각하다”면서 “전북의 특성을 반영한 인구정책을 마련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지혜기자·kjhwjw@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