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연구원의 논문이 표절 의혹을 받고 있다. 지난 2010년 내놓은 ‘전라북도 야간관광 활성화 방안 보고서’가 지난 2008년 제주연구원의 ‘제주지역의 야간관광 활성화 방안’을 표절했다는 것이다. 지난 3일 익명의 제보자가 밝힌 내용에 따르면 전북연구원의 논문 서론과 활성화 방안을 다루는 장에서 많은 표절이 나타났고 이는 연구의 독창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부분을 그대로 베끼기 한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일부 단락은 글자 1~2자만 빼고 내용이 같은 경우가 상당수 발견됐다며 표절이라고 주장하는 단락이 전체 논문에서 42단락이나 되고 정책제안 분야에선 거의 100% 내용이 유사하다는 게 제보자 주장이다. 
전북연구원은 이에 대해 ‘카피킬러 유사도가 5%정도로 이는 국책연구원과 전국시도 연구원 기준 10~15%를 감안할 때 표절로 간주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내놨다. 보고서 최초 작성자인 제주연구원의 연구원 역시 과거 보고서 까지 현재 기준으로 표절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의견을 보내왔다고도 했다.
하지만 보고서의 가장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정책제안 등의 부분에서 심각한 표절이 있었다면 이는 문제가 된다. 전북의 야간관광 활성화 방안이 지역별 특색 없이 대등소이 한 상황으로 정책 방향역시 색다른 제안이 필요 없는 상황이라면 처음부터 보고서를 내지 말았어야 했다. 그저 제주연구원 보고서 갔다가 전북야간관광정책 참고자료로 활용했으면 충분했을 일이다. 
더구나 전북연구원은 지난 2015년 전북도 감사에서 연구과제 112건을 검증한 결과 90%인 101건이 표절 등으로 문제가 있다는 지적을 받았기에 더욱 불신과 실망의 도가 깊어진 상황이다. 그 이전 보고서들에서 얼마나 많은 표절이 있었는지가 궁금하다는 말이 나올 만큼 지금 전북연구원에 대한 믿음은 바닥이다.  
외부인사로 구성된 인사위원회를 통해 엄격한 심사를 진행하겠다고 하니 두고 볼 일이지만 이러한 논란자체가 불거진 상황을 만든 것에 대한 철저한 자기반성이 없는 한 불씨는 다시 살아나기 마련이다.
전북대표 연구기관으로서의 책임감과 학자이자 전문가로서의 자존심까지를 저버리는 표절논란에서 멀찌감치 비켜서있기를 도민들은 바라고 있다. 표절논란의 끝은 결국 도민들의 창피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전북연구원은 정말 거듭 나야 한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