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이 4차 산업혁명의 농업부문 핵심 모델로 주목받으면서 관련 정책이 집중 추진되고 있다. 스마트팜은 농장 경영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융복합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노동력을 절감하는 등 장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제 막 시작되고 있는 스마트팜 확산 단계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가 속속 불거지고 있다. 농가들이 스마트팜 장비에 익숙하지 못해 겪는 피해가 상당수다. 특히 제대로 된 표준 기술이 아직 없는데다가, 피해가 날 경우 농민의 조작 미숙 책임으로 전가되는 등 메카니즘을 모르는 농민에게 불리한 결론이 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방울토마토를 재배하는 한 농가는 휴대폰으로 환기창 개폐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팜 시설을 자신의 비닐하우스에 설치했다. 그런데 개폐 장치가 멋대로 오작동해 큰 피해를 입었다. 비닐하우스 몇 개동이 피해를 입었는데도 설치 업체는 농민의 휴대폰 조작 미숙으로 떠넘긴다. 비닐하우스에 각각 블랙박스라도 설치해야 할 판이다. 2014년 시작한 스마트팜은 2017년 시설원예 4,010ha, 축산 790가구로 증가하는 등 확산 일로에 있다. 이에 따라 국산 및 수입산 정밀 제어기기 등 스마트팜에 필요한 장비 사용이 크게 늘고 있다. 그런데 각각의 제품들 성능 차이가 너무 커서 피해를 입는 농가들이 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스마트팜 제품의 사전인증을 의무화시키고, 한국형 스마트팜 모델을 시급히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농식품부 역시 2015년부터 한국형 스마트팜 개발을 발표하고, 2020년까지는 첨단 수출형까지 개발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하지만 아직도 한국형 스마트팜 모델은 국내에 보급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각 기기 부품의 표준화도 미진한 상태여서 제품 간 호환 문제가 커지고 있다.
농가는 농사를 망치는게 가장 두렵다. 그 다음에 가격을 걱정한다. 그런데 일년 농사 결과를 선보이지도 못하고 포기하게 된다면 어떤 심정일까. 첨단 농사를 도입하자마자 농작물을 망치는 심정은 어떨까. 정부는 약속대로 한국형 스마트팜 모델 개발과 기술 표준화, 장비 규격화를 서둘러야 한다. 농가는 한파와 치솟는 난방비, 수확량 감소, 가격 폭락 등 고민거리가 한둘이 아니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