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를 앞두고 도민의 높은 지지도에 취한 더불어민주당 도당이 연일 시끄럽다. 기초단체장과 지방의원들의 불복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3%이내라는 경선결과도 있지만 도당 당직자들의 미숙한 일처리도 크게 한몫을 했다는 지적이다.
후보자들이 이번 민주당 경선과 관련해 도당에 강력항의하고 있는 것은 경선여론조사기관 미공모와 후보자 가감점, ARS일반여론조사 샘플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경선에서 탈락한 후보나 이긴 후보 모두 이구동성으로 지적하고 있는 것은 시행세칙에 있는 경선여론조사기관을 공모를 거치지 않고 공천관리위원회의 적합도 여론조사기관을 그대로 사용한 점이다.
왜 시행세칙을 만들었겠나. 모두가 공정한 룰에서 아름다운 선거를 하고, 승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 아니겠는가. 도당 안팎에서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일부 당직자가 올 2월 여론조사기관 관계자와 만남을 가졌다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다.
또 도당은 탈당자에 대한 감점과 정치신인 등에 대한 가점도 경선시작 전 매듭을 짓고 시작했어야 하는 절차를 밟지 않아 항의를 받았다. 중앙당에서 가감점에 대한 기준이 제시됐기 때문에 경선에 앞서 후보자들에 대한 가감점 예상점수를 공지하고 이의신청을 받는 절차가 아쉬웠다는 점이다.
경선결과를 발표할 때마다 가감점을 포함했느냐는 항의가 계속 나오는 이유다. 도당은 조기경선 때문에 시간이 없었다고 변명하겠지만, 공정한 운동장에서 선수들이 경기 중에 심판에게 항의하지 않도록 룰을 정확히 하고 후보들에게 공지와 이의신청을 거치는 절차를 밟았어야 했다는 것이다.
ARS일반여론조사 샘플도 이미 중앙당의 공문에서부터 불거졌던 것이다. 50만 미만 선거구에서 2만1000샘플 가운데 700샘플을 대상으로 한다는 것은 어느 누구나 700샘플만 한다고 믿을 수밖에 없다.
700샘플의 30배인 2만1000명을 대상으로 최대 5회에 걸쳐 전화를 할 수 있다고 후보들에게 사전에 통보하는 소통을 경선 전에 거쳤더라면 됐을 일이다.
이 같은 도당의 미숙한 일처리는 김윤덕 도당위원장이 지방선거라는 전쟁을 눈앞에 두고 기존 베테랑 당직자를 그만두게 하면서 예견됐다. 여기에 도당이 궂은일을 도맡았던 알바들을 잡지 못해 더욱 혼란해졌다는 지적이다.
이런 사태를 예견하고 대다수 지역위원장들은 지방선거가 끝난 후 당직자의 사표를 받아도 된다고 건의했으나 이마저도 묵살됐기 때문에 도당의 일처리로 인한 혼란의 책임은 도당위원장에게 주어진 셈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