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농가 소득이 경영비 감소 등의 영향으로 1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됐다는 결과가 나왔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17년 농가 및 어가 경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 평균 소득은 3,823만9,000원으로 전년 비 2.8% 올랐다. 2016년에는 쌀값 하락 등의 영향으로 농가소득이 전년보다 떨어졌었다. 그런데 지난해는 농가당 경영비가 2,053만3,000원으로 전년보다 3.2% 줄었다. 반대로 농촌관광 확대 등으로 농외소득은 늘면서 농가소득이 오른 것이다. 농가 경영비 감소는 지난해부터 농협이 추진하고 있는 영농자재 가격 인하 등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분석됐다. 사료 값, 비료 대, 농약 대 등이 감소해 농가에 보탬이 됐다는 것이다. 반가운 일이다.
하지만 문제는 농업소득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데 있다. 지난해 농가당 평균 농업소득은 전년 비 0.2% 감소한 1,004만7,000원에 그쳤다. 농산물 가격 하락과 가축질병 등으로 농축산물 판매소득이 줄었기 때문인데, 농업소득은 2년 연속 하락하고 있다. 농업소득은 2004년과 2006년 1,200만 원대를 기록하기도 했으나, 23년째 1,000만원 근처에 머물러 있다. 농업소득이 후퇴하는 가장 큰 이유는 시장개방 확대에 따른 농축산물의 수입 증가 때문이다. 농축산 강국들과 맺은 FTA로 인한 관세 감축 효과가 매년 커지고 있고, 농축산물 수입액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여기에 국내산 농축산물의 가격 약세가 지속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2022년에 농업소득 1,000만 원대가 붕괴될 것이란 전망을 내놨지만, 당장 올해부터 농업소득 1,000만 원대 붕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래서는 농촌과 우리나라에 희망이 없다. 새 정부가 농촌 고령화와 인구감소 등을 해결하기 위해 청년농부 농촌 유입 정책에 집중하고 있지만, 농업소득이 하락해서는 정책 실패 확률만 올라갈 뿐이다. 청년들은 돈도 없고 경험도 없다. 농촌에서 농외소득을 올릴 수 있을만한 기술과 인맥도 없다. 열정으로 도전해 농업소득만으로 살아야 하는데, 농업소득이 하락한다면 시골 정착은 어렵기만 하다. 농업소득을 올리는 정책은 청년농업인 유인, 농촌고령화 및 출산율 저하 해결, 농촌소멸 지연, 자치분권 강화 등 국정과도 맞닿아 있다. 농업소득은 정부의 특단의 정책 마련이 필요한 분야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