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간 소득 양극화가 최악이다. 또 도농간 소득격차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16년 농가소득 5분위 배율'은 11.3배로 나타났다. 잘사는 상위 20% 농가와 못사는 하위 20% 농가의 소득 격차가 11.3배란 것이다. 농촌 빈부격차가 심화되는 이유는 하위 20%인 1분위 농가의 소득이 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2016년 이들 농가의 연간소득은 787만1천원으로 10년 넘게 비슷한 금액을 유지하고 있다. 월평균으로는 65만6천원 수준이다. 같은 해 2인가구 최저생계비인 110만원7천원의 절반 정도다. 농가 소득은 고령화 될수록 더욱 심각한 격차가 나타나고 있다. 2016년 65세 이상 농촌 고령화율은 40.3%로 전국 평균보다 3배 이상 높다. 그런 농촌에서 39세 이하 농가소득이 7755만2천원인데 비해 70대 이상은 2447만6천원에 그쳤다. 1분위 고령농가는 연간 소득이 더욱 열악함을 유추할 수 있다.
도시와 농촌의 소득격차도 심각해지고 있다. 도시근로자가구 대비 농가소득 비율은 1990년 97.2%에서 2000년 80.5%로, 2016년엔 63.5%로 떨어졌다. 농축산물 시장개방 확대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그런 가운데 중대농 위주의 규모화 정책, 고령농 증가 등으로 1분위 고령농들이 빈곤 위험층으로 전락하고 있다. 농가들이 부족한 생계자금을 빚으로 충당하면서 농촌의 생계유지에 필요한 가계용 부채 비중이 꾸준히 늘고 있다는 통계청 발표도 있다. 최저생계비도 벌지 못하는 농촌 빈곤층이 최근 10년간 2배로 늘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농가소득 양극화를 완화하려면 우선 농업예산의 집행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현행 직불금이나 보조금이 면적이나 규모에 비례해 지급되면서 상대적으로 열악한 소규모 고령농들이 소외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2015년 쌀 직불금 1조367억원의 63%를 상위 20%가 가져간 반면, 하위 20%는 3%인 290억원을 수령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농촌 고령농들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도 소외받는 등 빈곤 위험이 가중되고 있다. 이들의 소득인정액을 산정할 때 직불금을 제외하고, 농업 대출금 상환액 중 이자비용 차감을 확대하는 등 보호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 또한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에 더해 농촌형 노인 일자리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고령농들을 위한 맞춤형 일자리를 적극 개발해야 한다. 고령농 빈곤층은 우리 모두의 미래상이다.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