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와 도내 14개 시·군이 인구유입 등의 효과를 위해 적극적인 귀농·어 및 귀촌 정책을 지속적으로 펼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전북으로의 귀농 및 귀어인은 소폭 증가한 반면 귀촌인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29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 통계청 등의 ‘2017년 기준 귀농어·귀촌인 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으로 귀농 및 귀어, 귀촌한 인원은 총 2만2317명(동반가구원 포함)으로 집계됐다.
인구유입 순으로 보면, 귀촌이 2만57명(1만5127가구·전국의 4.5%)으로 가장 많았고, 귀농 2130명(1361가구·전국의 10.8%), 귀어 130명(83가구·전국의 9.2%) 등의 순 이었다.
귀촌의 경우, 지난 2016년 1만5672가구보다 545가구(3.5%)가 줄었으며, 귀농과 귀어는 각각 98가구(7.8%)와 7가구(9.2%)가 증가했다.
귀농 전 거주 지역을 살펴보면, 경기도가 전체의 21.0%를 차지하는 등 수도권에서 이동한 귀농인이 전체의 43.1%를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전북은 5.3%(679명, 전년대비 11% 증가)를 기록하며 8개 도시(특별, 광역시)를 제외한 9개 도(道) 단위 지역 중 경기, 경남에 이어 3번째로 높았다.
귀촌을 결정한 1만5127가구들의 전북 전입사유는 ‘가족’(가족과 함께 거주, 결혼, 분가 등)이 5000가구로 가장 많았고, ‘직업’(취업, 사업 등) 4011가구, ‘주택’(주택구입, 계약만료, 집세, 재개발 등) 3356가구 등이 주된 이유로 꼽았으며, ‘건강’(876가구), ‘교통’(505가구), ‘교육’(232가구)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귀농 가구원 2130명 중 남성은 1183명으로 55.5%, 여성은 947명으로 44.5%를 차지했지만, 동반가구원을 제외한 귀농인 1374명으로 볼 때는 남성(884명)이 64.3%로 여성(35.7%)보다 많았다.
귀농 가구원의 지역 간 이동유형에서는 시·도 간 이동이 1209명(56.8%)이었고, 시·도 내 이동도 921명(43.2%)에 달한 것으로 분석됐다.
귀농인 1361명 중 1인 가구 형태는 64.7%(881명), 2인 22.6%(308명), 3인6.2%(84명), 4인 6.5%(88명) 등의 비율을 보여 홀로 귀농의 길을 선택한 수가 절반을 넘어섰고, 연령별로는 50대가 34.8%, 60대 23.3%, 40대 22.0%, 30대 이하 13.6%였다.
도 관계자는 “이번 통계조사결과와 향후 실시예정인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를 면밀히 검토해 관련 정책을 지속적으로 보완하고, 귀농·귀촌인의 안정적 정착과 농업·농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해 나갈 계획”며 “이번 조사결과에서 다소 아쉬운 점이 많은 만큼, 더욱 적극적인 정책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유승훈기자

저작권자 © 전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